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흉내
모사
되풀이
의태
흉내내기
답습
모의
d라이브러리
"
모방
"(으)로 총 73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얼굴 인식 정확도가 90%를 넘는다”고 말했다. 명암 변화 감지 ‘알파 아마크린’ 세포
모방
뇌의 얼굴 인식 능력에 과학기술이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최근에는 애플이 선보인 스마트폰 ‘아이폰X(텐)’에 얼굴 인식 시스템인 ‘페이스ID’가 탑재됐다. 얼굴 인식 기술 개발은 1970년대 초부터 ... ...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바이오 미네랄 성분이 어떻게 생성되고 기능하는지 알 수 있었다”며 “치아의 구조를
모방
해 새로운 재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11월 15일자에 실렸다. doi:10.1021/acsnano.7b0504 ... ...
[과학뉴스] 롱패딩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입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를 대체하기 위해 북극곰의 털을
모방
한 충전재나 수분이 닿으면 열을내는 소재 등을 개발하고 있다 ... ...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밀리초) 만에 얼굴 인식을 끝내고 인공지능(AI)은 뇌가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을 끊임없이
모방
하고 학습한다. 얼굴이 신분증이 되는 시대가 시작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
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오징어 같은 두족류는 피부의 질감을 바꿔 주변 환경과 비슷하게 위장한다. 최근 이를
모방
해 신축성 있는 소재의 표면 질감을 바꾸는 기술이 개발됐다. 로버트 셰퍼드 미국 코넬대 기계항공공학과 교수팀은 두족류의 피부 위장술을 조사했다. 두족류는물속을 헤엄칠 때는 유체 저항을 줄이기 위해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방향으로 진화가 일어납니다. 나쁜 녀석끼리는 닮는다그러나 한 종이 다른 종을
모방
하는 베이츠 의태 모형으로는 나비 여러 종이 같은 특징을 지니는 것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독일의 동물학자 프리츠 뮐러가 ‘뮐러 의태’를 제시합니다. 뮐러는 1879년에 의태의 이점을 ... ...
[Career] ‘한국의 젊은 노벨’ 한 자리에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지키기 위한 흰개미 탐지 키트를 제작한 ‘앤트맨’ 팀과, 흰다리새우의 제자리 유영을
모방
해 시추선의 흔들림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한 ‘쉬림프33’ 팀이 받았다. 쉬림프33 팀은 흰다리새우의 다리와 유사한 실제 모델을 3D프린터로 제작했다. 그리고 이것을 선박 추력기에 부착해 시추봉을 ... ...
[과학뉴스] 스스로 고장 수리하는 ‘모듈러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스스로 떨어뜨리고 새 모듈로 교체할 수 있다. 자가 치유의 비결은 인간의 신경계를
모방
한 시스템이다. 이를 이용해 외부에서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스스로 연결 모듈을 끊거나, 새로운 모듈과 결합할 수 있다. 연구팀은 로봇이 발광다이오드(LED) 불빛을 외부 자극으로 인식하도록 설계했다. 그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응용해서 질병진단기술을 개발하는 융·복합 연구자다. 그는 올해 3월 거미집을
모방
해 기존보다 20배 빠른 바이오센서를 개발해 주목 받았다. 특히 이 연구 결과는 7년 동안 함께 연구해 온 임병화 연구원(박사과정)과 함께 맺은 결실이라 의미가 더 크다.두 사람이 함께 고민한 문제는 ‘질병과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2년 라미레즈 로드리게즈 자비에 멕시코 자치대학교 시스템학과 교수는 작곡하는 과정을
모방
해 ‘음악적 작곡법(MMC)’이라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바이올린을 사랑하는 진 하디스티. ▶ 자비에 교수는 작곡가가 혼자서가 아니라 다른 작곡가와 소통하며 창작 활동을 한다고 봤다. 그래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