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향력"(으)로 총 541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논문 수만 놓고 보면 한국의 수학 연구 수준은 세계 11위다. 논문 양으로는 이 정도지만, 영향력은 이보다 못 미친다. 이건 수학뿐만이 아니라 한국 학문이 전반적으로 양적인 성장을 먼저 한 탓인데,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 ...
- [Tech & Fun] 공포는 사람을 편협하게 한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결과도 있었다. 위의 결과들은 공포가 나와 가까운 이에게만 선택적으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했다는 증거다.등잔 밑을 더 무서워해야 한다?물론 이런 행동이 잠재적인 위협을 색출하고 믿음직한 사람과 단결해 눈앞의 위기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나와 가까운 사람만 선택적으로 돕는 ... ...
- [과학동아] 국제비만연구협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올해로 20주년을 맞았다(비만에 대한 사람들의 고민이 그만큼 오래됐다는 뜻!). 학술지의 영향력을 수치화한 임팩트팩터는 5점대로(2015년 기준), ‘영양과 식이’ 분야에의 77개 학술지 중 7위를 차지했다. 국제비만연구협회지는 새로운 비만 치료 기전부터 과체중인 사람들의 심리까지 다이어트에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사람들, 줄여서 ‘한빛사’는 브릭에서 가장 공을 들이는 서비스다. 생명과학 분야에서 영향력이 큰 저널에 논문을 싣거나 동료 연구자들의 추천을 받은 과학자를 선정해, 인적사항과 연구분야, 인터뷰를 수록한 일종의 ‘인명사전’이다. 연구성과가 우수한 한국 생명과학자는 거의 다 ...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유의확률을 특정 가설이 참/거짓일 확률로 잘못 해석한다.연구자가 유의확률에 영향력을 행사해 연구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만들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두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유의확률이 충분히 작아질 때까지 실험을 계속하는 방법과(실험 데이터를 계속 모으면 0에 가까워진다), 통계적으로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고양이만의 세상이 있다고 합니다. 그곳에는 덧셈도 할 줄 알고 퍼즐도 풀 수 있는 천재 고양이도 있다는군요. 지금껏 인간 세상에 알려진 적 없 ... 조르바는 과연 노력과 끈기로 마법 퍼즐을 풀 수 있을까요?참고 : 샘 스톨의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예측하기 힘들다.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돌들의 중앙에 대한 영향력을, ‘두터움’이라는 추상적인 용어로 설명한다. 워낙 미묘해 초보자들은 정확히 어떤 개념인지 이해하기도 힘들다.하지만 알파고는 두터움을 계산하는 데 어느 정도 성공한 것 같다. 2국에서 알파고의 ... ...
- [과학뉴스] 피지컬 리뷰 레터스 (Physical Review Letters, PRL)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때문이다. 1958년 미국물리학회에서 처음 발간했다. 2014년 기준 피인용지수는 7.512로 영향력이 매우 큰 편이다.피지컬 리뷰 레터스는 중력파와 질긴 인연이 있다. 1936년 아인슈타인이 “중력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논문을 게재하려고 시도한 곳이 피지컬 리뷰 레터스의 전신이자 자매지인 ‘피지컬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나타났다. 사실 그때는 뉴스에 좀 자주 등장하는 것 말고는 별 영향력도 없었는데도 그랬다. 넓은 세상, 미친 사람은 원래 많은 법이니, 나야말로 진정한 뭔가를 깨달은 자라면서 숭배하는 사람도 나타났고, 반대로 참된 인간 정신의 가치를 위협하는 악마라고 저주하는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수 있다. 즉, 질량(중력)을 가진 물체는 주변의 시공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말이 된다. 이 영향력이 거리에 따라 세기가 변하면서 다른 물체에까지 미치게 되는 것이다.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으로 다시 설명한 중력은, 바로 질량을 가진 물체가 시공간을 휘게 만들면서 생기는 힘이다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