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여파
효과
반향
d라이브러리
"
영향력
"(으)로 총 54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못하다.아마랄 교수는 중앙성 분석을 통해 슛으로 연결된 공의 흐름에서 누가 가장 많은
영향력
을 발휘했는지를 분석해 각 개인의 역량을 계산했다. 즉 슛으로 연결된 패스 중에서 어떤 게 가장 많이 연결에 가담했는지를 판단한 것이다.네트워크 분석★ 그래프 이론을 이용해 수많은 구성 요소로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적합한 친구를 추천한다. 단순한 친구 추천을 넘어서서 어떤 사람이 SNS에서 가장
영향력
이 있는 사람인지, 어떤 방식으로 의견을 전파해야 가장 효과적인지도 연구한다. 이는 기업의 마케팅이나 선거 전략에도 응용되고 있다.놀라운 것은 단지 마당발에 해당하는 사람을 공략하는 것이 능사는 ... ...
[생활] 팔방미인 상수, π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스위스의 수학자 오일러 덕분이다. 그는 당시 유럽에서 매우
영향력
있는 수학자였다. 오일러가 1736년 자신의 책에서 원주율을 나타내는 기호로 π를 사용하면서부터 원주율을 π로 표기하는 방법이 빠르게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들어섰다고 발표했다. 그러니까 나는 인간이 만든 탐사선으로는 처음으로 태양의
영향력
을 벗어나게 된 것이다. 그 거리가 약 121AU였다. 나는 그 이후로도 2년째 초속 17km의 속도로 태양에서 멀어지고 있다. 현재는 125AU를 넘은 떨어진 지점을 통과하고 있다.NASA의 우주과학자들이 내가 태양권을 ... ...
Part 1. 전격 분석! 필즈상의 모든 것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그가 상을 받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노벨이 미타그 레플러가 스웨덴 학계에
영향력
을 행사해 노벨상을 탈 것을 우려한 나머지 노벨상에서 수학 분야를 제외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무관심설, 비실용설 | 노벨이 단순히 수학에 대한 관심이 없었거나, 수학이 비실용적이라고 생각했기 ... ...
[생활] Google 검색의 비밀은?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평가된 삼성전자의 브랜드 가치가 259억 달러(약 26조 6000억 원)인 것을 생각하면 구글의
영향력
은 그야말로 대단하다.그렇다면 구글의 역사는 어떻게 시작된 걸까? 바로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1995년 스탠퍼드대 대학원에서 만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브린이 2년 선배이긴 하지만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미국 양쪽에서 수학 공부를 해 보니, 확실히 우리나라에는 협력보다는 제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연구를 하는 거예요. 사실 아주 어릴 때는 저 혼자 아주 훌륭한 업적을 내서 멋지게 발표하는 게 꿈이었어요. 그런데 지금은 제 영예보다 수학의 발전에 기여하는 사람이 되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다시 ... ...
별별 데이터 세상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가장 잘 알려진 데이터과학자로 구글 CEO인 래리 페이지를 꼽을 수 있다. 2011년 가장
영향력
있는 데이터과학자 중 한 사람으로 선정된 그는 구글의 창립자로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구글의 굵직한 사업들을 결정해 왔다. 구글에서 유용하게 사용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중 하나는 ... ...
홍자의 친구 사귀기 대작전!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수는 20×20=400명이고, 3단계까지 연결된 수는 무려 20×20×20=8000명이다. 한 사람이 미치는
영향력
이 얼마나 큰지 실감할 수 있다.한편 ‘비만’과 같은 질병도 사람들간의 관계를 통해 전파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크리스태키스와 파울러는 1971년부터 2003년까지 32년간 프레이밍엄 심장 연구에 참여한 ... ...
오래된 나무가 지구를 지킨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이룬 숲과 유사할 정도라는 것. 연구팀은 “거목이 대기 중의 탄소를 줄이는 데 막대한
영향력
을 가진 만큼 인간의 탄소배출 때문에 일어나는 지구온난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거목을 지켜나가야 할 것”이라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1월 15일자에 발표됐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