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
뜻밖
우연성
불안
추측
요행
d라이브러리
"
우연
"(으)로 총 370건 검색되었습니다.
혜초 따라 실크로드 걷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기록해 왕오천축국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내용이 나왔다. 파란 눈의 동양학자가
우연
인 듯 필연인 듯 그 소중하고 대단한 가치를 알아본 것이다. 왕오천축국전은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프랑스국립도서관에 소장돼 공개되지 않다가 마침내 한국에 왔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의 ‘실크로드와 ... ...
새가 도구를 만들고 교육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새끼에게 도구를 만들고 사용하는 법을 가르쳐 줬답니다. 물론 아직도 이 연구 결과가
우연
이라며 믿지 못하는 사람이 남아 있긴 하지만, 적어도 새라고 무조건 멍청하다고 놀리는 건 그만둬 줬으면 좋겠어요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달라붙어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못하게 했다. 유전자 하나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이 있다면
우연
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5개에나 그런 영역이 있고 게다가 이들 유전자가 선충의 발달에 관여했기 때문에 여기엔 심오한 무언가가 내포돼 있는 듯 보였다. 연구자들은 lin-4나 let-7 같은 RNA 조각이 선충의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진화는 사다리 오르기가 아니라 가지가 갈라지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우연
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메이저리그에서 4할 타자가 사라진 것은 타자의 실력 저하나 투수와 수비수의 실력 향상 때문이 아니라 야구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되면서 ‘시스템 전체의 변이 폭이 ... ...
좋은 곳 어디에나 함께해 줘~!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부산에서 출발해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는 길이다. 이 도로의 이름은 바로 7번국도.
우연
인지 몰라도 참으로 멋진 이름이 붙었다. 7번 국도와 반대로부산에서 남해와 서해안을 따라 가는 길도 아름다운만큼 7번 못지않다. 그래서인지 이 도로의 이름은 77번국도다. 총 연장 1288k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 천복은 지오의 어깨를 툭툭 치며 웃었다.‘날 찾았다고? 그럼 황산사님을 만난 게
우연
이 아니란 거야?’ 지오가 어리둥절한 표정을 짓자, 이번엔 다른 사내가 나섰다.“난 장갑수. 그냥 장도사라고 부르면 돼. 천문과 역법을 연구하지. 해와 달과 별은 물론 세상 이치에 관한 것이라면 뭐든 내게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는 데 있다.이를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보는 전문가들은 “
우연
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기상청 지진감시과 유용규 사무관은 “작년에 비해 올해엔 규모 6∼7 사이의 지진이 조금 증가한 감이 있지만 7 이상의 지진은 거의 평년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그 외 지각판의 ...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생명체에 적합한 이유가 무엇인지 하나하나 알려준다.이 책에 따르면 생명체란 외관상
우연
인 듯 보이는 물리법칙과 우주의 정교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생명체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원소인 탄소 하나가 생기려면 헬륨의 핵 3개가 정확히 동시에 모여야 한다. 우주의 특징, 즉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는 것 자체가 그에게는 흥분되는 일이었다. 허블우주망원경과 그의 만남은 이렇듯
우연
처럼 시작됐다.이야기 속 주인공은 천문학자 이명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다. 그가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시작하던 1990년 봄. 모든 이의 이목이 허블우주망원경에 쏠렸다. 그도 마찬가지였다. 1990년 4월 2 ... ...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일본은 왼쪽으로 달린다. 이것 역시 어떤 과학적인 이유가 있어서가 아니라 역사적으로
우연
히 선택된 결과다. 자동차가 발명되기 전에 마차를 몰던 습관이 그대로 굳어져 지금의 자동차 이동 방향이 되었기 때문이다. 모든 과학과 기술이 꼭 합리적인 이유를 갖고 일상 생활에 적용되는 것은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