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
뜻밖
우연성
불안
추측
요행
스페셜
"
우연
"(으)로 총 7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상태다. ● 최초의 X선 발견자는 누구인가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것은 행운이 따른
우연
이라 하기도 하고 지칠 줄 모르는 노력과 과학을 향한 열정에 의한 결과라 하기도 한다. 그런데 뢴트겐 이전에는 X선을 아무도 발견하지 못했는가? 정답은 “아니다”이다. 뢴트겐보다 앞서서 헤르쯔(Heinrich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게놈 크기는 약 260만 염기이고 단백질 지정 유전자는 약 2500개로 밝혀졌다. 물론
우연
이겠지만 게놈 크기와 유전자 수 모두 이번에 제안된 루카의 범위에 들어간다. 참고로 대장균은 각각 460만 염기와 4200개이고 상용화된 설비에 쓰이는 아세토젠인 클로스트리디움 오토에타노게눔은 각각 450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4000년 전으로 거의 같고 작물화도 약 1만 1000년 전 거의 같은 시기에 일어난 게 공교로운
우연
이 아니라 기후변화와 신석기 문화 교류의 결과임을 고고학 증거를 분석해 보여줬다. 재레드 다이아몬드가 이 논문을 읽으면 고개를 끄덕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큰 해가 없다. 숫자가 늘어나야 사람에게 해가 될 정도로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우연
히 침입하거나 변이에 의해 생겨난 적은 수로는 특별한 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닥티노마이신은 DNA에 결합함으로써 RNA 중합효소가 DNA로부터 RNA를 만드는 과정을 막는다. 이렇게 되면 리보소체(리보솜)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
일까
2023.12.17
그 이유를 알아내고자 한 것이 곰팡이가 지닌 항생물질의 발견으로 이어진 것이
우연
이자 행운에 의한 발견이었다. 이 발견에 흥미를 느낀 플레밍은 곰팡이의 어떤 능력이 그 주변에 세균을 자라지 못하게 했는지를 알아내려 했고, 이 과정에서 Penicillium notatum 곰팡이에 들어 있는 항생효과를 지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래세대에게 현대의학은 어떻게 보일까
2023.08.08
혹시라도 입 안으로 피 한 방울을 떨어뜨렸다고 의식을 되찾은 경우가 있다면 이건
우연
의 일치일 뿐 의식과 입 속의 피는 아무 상관이 없다. "의학지식이 두 배로 증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950년에는 50년, 1980년에는 7년, 2010년에는 3.5년으로 줄어들었다. 2020년에는 의학지식이 두 배로 증가하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연
적이고 느슨한 관계 '친구'가 필요한 이유
2023.05.20
인해 많은 시간과 자원을 소모하게 되기도 한다. 어찌보면 다양한 인간 관계들 중 가장
우연
적이고, 느슨하며, 딱히 유지해야만 하는 필요가 구체적으로 존재하지는 않아서 언제든지 끊어질 수 있는 관계인 것이다. 이 허술해 보이는 관계가 때로는 혈육보다도 더 큰 힘과 위로가 되며 평생토록 ... ...
[박정연의 닥터스] “해외 원정수술 받아야 했던 성소수자에 의료 인프라 제공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5.02
충분히 받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었다. 성소수자 의료에 대한 관심은
우연
하고 개인적인 사건에서 출발한 것 같다.” -성소수자 의료는 한국에서 관련 인프라가 미비했다.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을 것 같다. “성형외과 전공의 수련을 마친 이후 성확정 수술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인생은 고통' 깨달음이 주는 것
2023.02.18
실제로 아무 의미도 없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 우리는 수 많은
우연
과 의미 없음 속에서 작게 반짝이는 무언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삶은 꽃길이 아니고 영원히 중요한 것 또한 없다는 사실이 역설적으로 삶에서 진짜 중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어떻게 그 자리에 있게 된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확실하지만, 이들의 존재가
우연
은 아니고 게다가 암의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드러나고 있다. 이야기는 10여 년 전 미국 브로드연구소 토드 골럽 박사팀의 실험실에서 시작됐다. 당시 연구팀은 암의 항암제 내성 원인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