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만금 간척지, 농사도 짓고 도시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간척지는 면적이 넓어 농작물을 많이 수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에요. 2008년 이후부터는 새만금 개발에 대한 계획이 변경돼 주거, 관광, 산업 등의 용도로도 개발되고 있지요. 우선 농업용으로 간척지를 활용하려면, 지하수가 상승하는 걸 막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예요. 간척지의 ... ...
- [출동, 슈퍼M] 가구 크기는 어떻게 재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이를 ‘1척’이라고 했어요. 오늘날의 단위로 바꾸면 황종척 1척은 약 34.48cm예요. 이후, 황종척을 기준으로 옷감의 길이를 잴 때 사용한 ‘포백척’, 건축을 할 때나 토지를 잴 때 사용한 ‘영조척’, 과학 기구를 잴 때 사용한 ‘주척’ 등 여러 가지 자를 쓰임새에 따라 만들어 사용했어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라푼젤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퇴행기에 접어들며, 머리카락의 뿌리가 있는 모낭이 피부 위쪽으로 올라옵니다. 이후 약 3개월 동안 머리카락은 더 자라지 않고 빠지기 쉬운 휴지기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서는 새로운 머리카락이 성장하기 시작하지요. 새 머리카락이 올라오면 휴지기 머리카락은 자연스럽게 두피에서 ... ...
- [수학체험실] 쭉~쭉 늘어나! 우리만의 자유로운 길이 재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2억 9979만 2458분의 1초 동안 지나는 거리’로 정했어요. 길이의 표준 단위로 1m를 정한 이후, 더 작은 단위와 더 큰 단위도 만들었지요. 1m의 이 1cm, 1m의 이 1mm예요. 1m의 1000배는 1km라고 해요. 용어 설명표준★ 사물의 정도를 알기 위한 기준을 말해요. 북극점★ 지구의 가장 북쪽 지점을 말해요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슈퍼문+블루문=슈퍼블루문?! 달은 뜨는 시기에 따라 여러가지 별명이 있습니다. 4월 초봄에 뜨는 달은 핑크문, 개기월식에 붉게 보이는 달은 블러드문 ... 정도 관찰되지요. 지난 8월은 슈퍼문이 2일과 31일 두 번이나 떴어요. 특히 8월 31일에는 2018년 이후 5년 만에 뜬 슈퍼블루문이었답니다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말불버섯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분말 형태를 띠는 포자로 변하죠. 말불버섯류는 성장하며 버섯 표면에 구멍이 뚫려요. 이후에 떨어지는 빗방울이 버섯 표면을 때리면 그 반동으로 내부에 있는 포자가 표면의 구멍 밖으로 터져 나와요. 말불버섯류는 썩은 나뭇잎이 가득한 토양인 부엽토를 좋아하는 부생균에 속합니다. 그래서 숲속 ... ...
- [가상 인터뷰] WHO,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은 발암 가능 물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낸다는 것이 특징이지. 아스파탐은 1974년 미국 식품의약국이 인공 감미료로 승인한 이후 지금까지 약 50년간 무설탕 음료나 과자에 사용되어 왔어. 그런데 지난 7월 14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관이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 분류 등급인 ‘2B급’으로 분류해 몸에 해로울 수 있다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깃대종/삼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옛부터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살고 있었던 반달가슴곰은 일제강점기 이후 많은 수가 사라졌어요. 그래서 국립공원공단은 2004년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2007년 반달가슴곰을 깃대종으로 지정하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낼 수 있었죠. 그 결과, 반달가슴곰의 개체 ... ...
- [특집] 웜홀, 상대성 이론이 남긴 숙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자신의 이름을 따 ‘아인슈타인-로젠 다리’라고 발표했습니다.아인슈타인-로젠 다리는 이후 ‘웜홀’ 연구로 발전되는 토대가 되었어요. 웜홀(Wormhole)은 ‘벌레(worm)가 파먹은 구멍(hole)’이란 뜻으로, 멀리 떨어진 두 곳의 시공간을 이어주는 통로입니다. 2017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자 영화 ... ...
- [숫자로 보는 뉴스] 봄이 18.25일이나 먼저 왔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봄이 일찍 오면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하지 못해요. UCLA의 모건 팅글리 교수는 “1970년 이후 지금까지 전 세계 새의 수가 1/3이나 줄어들었어요. 앞으로 높아지는 기온에서도 새들이 살아남을 수 있도록 과학자들이 더 연구하고,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해요.”라고 말했어요. *용어정리북미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