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칼리지"(으)로 총 311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영국에서 일자리를 얻는 게 더 쉬워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영국의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에서 3학년을 보내고 있는 이상민 씨는 “영국에서 일을 하려면 비자를 받아야 하는데, 5년 비자를 위해 영국 정부에내야 하는 돈이 약 1500파운드(브렉시트 전 환율 기준으로 약 255만 원)”라며 ... ...
- [과학뉴스] 이타심까지 예측하는 ‘행복 방정식’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행복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생각은 누구나 쉽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런데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은 이것을 실험으로 증명하는 동시에, 개개인의 이타심까지 예측할 수 있는 방정식을 개발했다.연구팀은 47명의 실험 참가자에게 간단한 도박 게임을 하게 했다. 그리고 게임을 하는 동안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지난 화에서 우리는, 자연 선택이 각 개체의 포괄 적합도를 최대화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즉, 사회적 행동을 하는 개체는 자신의 자식 수(직접 적합도)뿐만 아니라, ‘그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를 공유할 확률이 있는 수용자의 자식 수에 끼친 영향의 일부분(간접 적합도)’도 신경을 쓰게끔 행동한다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정도로 아주 오래된 정설입니다.오늘날에는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죠.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사라-제인 블레이크모어 교수는 1998년에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 남이 간질일 때와 스스로 간질일 때의 뇌 반응을 비교해봤습니다. 여기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 곳은 소뇌(cerebellum ... ...
- [수학뉴스] 필즈상 수상자, ‘기부’라는 따뜻함 남기고 하늘나라로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받았던 상의 메달과 상금도 내놓았습니다. 모교인 영국 케임브리지대피터하우스 칼리지에 필즈 메달을 포함해 약 10만 파운드, 한화로 1억 6000만 원을 발전 기금으로 기부한 것이지요.이렇게 따뜻한 마음 씀씀이를 지닌 로스는 1958년 필즈상을 수상한 정수론의 대가입니다. 가장 유명한 업적은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회적 행동의 탄생에 주목한 윌리엄 해밀턴은 독학 끝에 드디어 이타성의 뿌리를 밝힐 논문을 완성한다. 이 논문은 다윈 이후 가장 혁신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다.윌리엄 해밀턴의 첫 논문은 1963년에 나왔다. ‘이타적 행동의 진화’라는 제목으로 학술지 ‘아메리칸 내추럴리스트’에 실린 단 3쪽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람의 기증이 필요 없는 인공생체 이식의 길은 2011년 처음 열렸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의 알렉산더 세이펄리언 박사는 기관지암에 걸린 스웨덴 환자의 기도를 3차원 입체영상으로 촬영한 뒤, 인체 친화적 플라스틱으로 복제품을 만들었다. 스웨덴 병원에서는 이 모형을 환자의 줄기세포가 ...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팬케이크를 맛있게 굽는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실렸어요. 팬케이크를 맛있게 굽기 위한 수학적인 비법에 대한 얘기였지요.영국 런던칼리지 유체역학연구실의 이안 임즈 교수와 영국국립보건연구원의 얀 버멜 박사 공동연구팀은 팬케이크 반죽을 걸쭉하게, 알맞게, 그리고 질게 만든 다음 구워보았어요. 그리고 그 결과를 서로 비교했답니다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어리석은 움”을 몰라보다니 말이다.외로운 연구자해밀턴은 런던정경대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 동시에 소속됐지만 두 곳 모두 거의 코빼기도 비치지 않았다. 그럴 만했다. 어느 곳에도 그의 책상은 없었기 때문이다. 그 누구도 해밀턴에게 다가와서 왜 가끔 과 건물에서 얼씬대는지 묻지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급감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 수준이 7~10ppm까지 내려갔다(현재는 400ppm).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지리학과 사이먼 루이스 교수와 마크 매슬린 교수는 ‘네이처’ 2015년 3월 11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를 1400~1600년대 시작된 동식물의 대이동을 대표할만한 기록(표준층서구역)으로 보고 1610년을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