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인터뷰] 3D 프린터, 우주 개척에 날개를 달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분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호흡기에 좋지 않으며 미세중력 환경에서 제어하기 어렵다는
한계
도 극복해야 한다. 날개5. 거주지 건설2022년 11월 NASA는 스타트업 아이콘(ICON)과 달 표면에 착륙장, 서식지, 도로와 같은 인프라를 3D 프린팅 방식으로 구축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첨가해 이런 문제를 극복했다. 그러나 디스프로슘도 가격이 비싸고 수급이 불안정하다는
한계
를 이내 드러냈다. 한국재료연구원의 이정구 연구원팀은 금속을 이루는 결정을 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크기로 작게 만드는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자석 내에 자기력을 약화시키는 ... ...
[논문탐독] 휜 숟가락 펴기 힘든 이유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한 것이 이 논문의 주요 내용입니다. 따라서 이 논문은 탄성
한계
를 높이는 다중접합의 메커니즘이야말로, 변형경화를 이해하는 열쇠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필자소개 김성수. 미국 하버드대 응용물리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콜로이드를 이용한 결정변형,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새워가며 집 안 구석구석을 뒤졌다.며칠 후 사건의 원인이 그 애였음을 알았을 때 나는
한계
까지 몰려있었다. 그만 이성을 잃고 “채티, 채티를 내놓으라고!”라며 달려들고 말았다. 함부로 내 노트북을 만진 주제에 뻔뻔하게 앉아있는 그 애를 용서할 수 없었다. 어른들이 기겁하며 나를 말린 것은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학습자료를 만들고 수업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다음Mission자신이 생각하는 BCI기술의
한계
를 생각해보고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적어봅시다! 참여 방법팝콘플래닛 홈페이지 – 플레이콘 놀이터 - 토크토크에[디지털 바른 생활] 말머리를 달아 올리기 ... ...
[과학뉴스] 웜홀과 블랙홀 똑같은 모습으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교수는 “이 차이를 구분해 웜홀을 발견할 수도 있겠지만 현재의 망원경 기술로는
한계
가 있다”며 “웜홀과 블랙홀을 더 쉽게 구분할만한 차이점을 계속 찾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 ...
[과학뉴스] 똑딱핀 같은 날개로 가장 빨리 헤엄치는 소프트로봇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교수는 “나비봇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가느다란 관을 연결해야 하는
한계
가 있다”며 “추후 별도의 관 없이도 자율적으로 수축, 팽창하는 나비봇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기본입자의 양자상태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물론 김 책임연구원의 말처럼 빛의 속도의
한계
는 있지만요. 그리고 양자얽힘 측정결과 정보를 토대로 물체를 재구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1초까지 획기적으로 단축했습니다. 순간이동 포털을 현실로 불러온 겁니다. 주의: 양자역학적 순간이동자가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겨울철 극지방에서 연구 및 실험이 불가능하다. 아라온호의 연구 가능 지역도
한계
가 있었다. 아라온호는 1m 두께의 얼음을 3노트(배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1노트는 1시간에 1.85km를 달리는 속도)로 운행할 수 있는 중형급 쇄빙연구선이다. 그보다 더 두껍게 얼음이 얼어있는 중앙 북극해 공해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물에서만 자랄 수 있었고 성체가 돼서야 육지에 진출할 수 있었습니다. 파충류는 이런
한계
를 극복해냈습니다. 건조한 뭍에서 태아를 보호할 ‘양막(amnion)’이라는 기관을 만들어낸 덕분입니다. 파충류는 양막으로 태아를 물과 함께 감쌌습니다. 여러분들이 한 번쯤 들어봤을 양수가 바로 양막에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