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cell"(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발암유전자를 알면 암 정복이 보인다과학동아 l1995년 06호
- fos, c-jun, 사이클린(cyclin) 등이 있다. 이들은 염색체에서 정상적인 세포증식이나 세포주기(cell cycle)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에 관계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쳐 암을 일으킨다.여러 발암유전자들로 인해 생긴 암조직을 분석하면 발암유전자가 암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예컨대 ... ...
- PART5 암 억제·유발의 두얼굴 p53을 찾아라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즉 p16은 만들기도 수월하고 고장난 부위를 땜질하기도 용이하다는 것.또 1993년 11월 셀(Cell)지에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의 버트 보겔스타인교수는 'p16과 p21을 체내생산하라'는 명령을 내리는 p53유전자가 있다고 밝혔는데 p16과 p21도 암의 증식을 억제하는 유력한 브레이크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 ...
- 사람은 왜 죽는가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점점 줄어드는 모래시계처럼. 생체시계로 기능한다말단소립은 우리 몸 안에서 생체시계(cellular clock)로 기능하며 있다. 우리 몸의 피부나 피 속의 림프구 및 혈액세포 내에 존재하는 말단소립은 매년 15-40 염기쌍(base pairs)씩 소멸돼 짧아진다. 우리가 태어날 때 말단소립은 6천-1만개의 염기쌍을 갖고 ... ...
- 알레르기, 현대인의 불치병인가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일으킨다.인체의 호흡기 점막(코 기관지 등)에는 면역글로블린 E와 비만세포(Mast cell), 호염기구(basophil)가 존재한다. 비만세포나 호염기구는 히스타민 같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화학매개체를 함유하고 있는 세포를 말한다.비만세포나 호염기구의 표면에는 면역글로블린 E가 존재하고 있다가 특정한 ... ...
- 1 인공장기 인체부속품 시대 개막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양육, 세포와 재료의 상호작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세포공학(cell engineering)이라하며, 앞으로 피부 각막 간 췌장 개발에 더욱 활발하게 응용될 전망이다.■ 인공혈관현재 인공혈관은 내경 4㎜ 이상에만 이용이 가능하다. 재료는 폴리에스터섬유(의류용폴리에스터와 동일한 ... ...
- 2. "이동통신 시장 잡아라" 불꽃다툼과학동아 l1994년 12호
- 현재의 이동전화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이동전화는 통화할 수 있는 지역이 기지국(cell)이 설치된 도시지역으로 한정되지만 위성이동통신은 단말기에서 바로 위성으로 전파를 쏘아 통신이 이뤄지므로 '통화불능지역'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막이나 밀림, 바다 한가운데, 북극 남극 히말라야 등 ... ...
-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과학동아 l1994년 11호
- 가령 미국의 의학자인 루이스 토마스는 그의 칼럼집인 '세포라는 대우주'(The Lives of a Cell, 1974년)에서 "멀리 달에서 지구를 바라볼 때, 숨이 멎을 만큼 놀라운 일은 지구가 살아있다는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이즈음에 영국의 대기과학자인 제임스 러브록(1919~)은 지구를 하나의 생물체로 정의한 ... ...
- (2) 면역 호르몬 사이토킨, 암퇴치의 첨병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치료능력을 항진시키는 데도 이용된다. 림포킨 활성세포(lympokin activated killer cells, LAK cells)나 종양 침윤 임파구는 어느 특정 암세포에만 선택적 살해효과가 있다.이러한 세포들의 암세포살해능력은 이들 세포에 종양괴사인자나 인터페론, 또는 항암 억제작용이 있는 인터루킨들의 유전자를 삽입해 ... ...
- (1) 세포 상호 의사소통, 생체기능 조절과학동아 l1994년 06호
- , 그 모습이 희미하게 나타나고 있는 췌장의 인슐린 분비세포인 베타세포 재생인자(beta cell regenerating factor)를 개발하는 사람은 틀림없이 백만장자가 될 것이다. 또 노벨상을 받을 확률도 대단히 높다.인체의 페로몬을 향수로 이용?미국에서는 인간의 페로몬을 함유시켰다는 향수 '렐름'(REALM, 왕국)이 ...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않도록 만든 것이다.25년간 존재 추정 돼온 형태조성지시 유전자생물학 권위지 '셀(Cell)' 이번 호에는 발생생물학자들이 하나의 세포인 수정란으로부터 완전한 동물로 발생하는 복잡한 과정을 탐구하면서 지난 25년간 찾아오던 것을 드디어 밝혀냈다는 세 팀의 과학자들의 보고가 실렸다. 이들은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