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cell"(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위협한다. 이처럼 특정 부위에 가해지는 힘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는 센서가 로드셀(load cell)로 더미가 갖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센서다. 충돌할 때는 또 머리가 엄청난 속도로 앞으로 튕겨지기 때문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런 위험은 물체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인 가속도계(accelerometer)를 통해 어느 ...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과학동아 l2002년 12호
- 가상 인간(virtual human)의 탄생과 맥을 같이 한다.현재 초보적인 단계의 가상세포(virtual cell)와 가상장기(virtual organ)가 등장해 관심을 끌고 있다. 유럽에서는 수천만개의 가상세포가 연결된 심장 장기를 위해 유럽에서 가장 큰 슈퍼컴퓨터를 사용하고 있고, 일본에서는 세포의 모든 생명현상을 컴퓨터로 ... ...
- 2. 한국인 맞춤의학 실현하는 SNP분석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유전자 β-globin의 SNP E146V는 혈액이 산소를 제대로 운반 못하는 겸상적혈구빈혈증(sickle cell anemia)의 발병위험성을 높인다.또 유전자 CETP에는 SNP B1과 B2가 있는데, B1과 B2를 둘다 가진 사람은 콜레스테롤 저하제인 프라바스타틴에 대한 반응성이 좋다. 유전자 TPMP의 SNP 2, 3A, 3B, 3C는 ...
- 2002 생리·의학상 - 세포의 자살프로그램 규명과학동아 l2002년 11호
- 등 3명을 선정해 발표했다. 이들은 ‘장기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사멸프로그램(cell death program)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의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해 수상의 영예를 차지했다. 이들의 업적은 시기가 문제이지 언젠가 노벨상을 수상할 거라고 예견해 왔을 정도로 이미 학계에서는 생물학사의 ... ...
- 3.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남긴 미스터리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외부에서 다양한 자극을 준 후 전체 단백질 풀의 변화를 관찰하는 사이버 세포(cyber cell)를 활용한 것이다. 비록 이 기술은 아직 초보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포스트게놈 시대에 지향해 나가야할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지금까지의 게놈연구에서 ... ...
- 2. 밝혀지는 암 유전자, 그리고 DNA 칩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진단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지금까지 한종류로 취급됐던 특정 혈액암(diffuse large B-cell lymphoma)이 사실은 각각 다른 치료방법을 적용해야 하는 2가지 이상의 암종으로 구분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최근 네델란드 암연구소에서 DNA 칩을 이용해 유방암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암 치료 후 재발율이 높은 ... ...
- 작은 세포의 미니 생쥐 탄생과학동아 l2002년 06호
- 2/3 밖에 안되는 작은 생쥐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 5월 10일 분자생물학 저널(Developmental Cell)에 발표했다.이번 생쥐의 발견은 우연이었다. 세틀먼 박사는 Rho-GAP이라는 단백질의 기능을 알기 위해 이 유전자를 제거한 생쥐를 만들었다. Rho-GAP 단백질은 원래 세포의 내부 구조와 움직임을 조절하는 ...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조혈모세포는 골수에만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조혈모세포(hematopoetic stem cell)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혈액세포를 만드는 모세포다. 골수의 이상으로 조혈모세포가 혈액세포를 생산하지 못하는 난치성 혈액질환자와 재생불량성 빈혈환자의 경우, 유일한 치료수단은 골수이식뿐이었다. ...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이를 둘로 나누는 분열을 통해 자기복제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과정을 ‘세포주기’(cell cycle)라 하며 이는 모든 생명체가 증식하는 기본적인 방법이다. 세포가 성장과 분열을 통해 자기복제를 수행한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으나 그 조절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이번 노벨 ... ...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이루고 있다.단백질의 입체구조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겸상 적혈구성 빈혈(sickle cell anemia)의 예에서 쉽게 알 수 있다. 이 병은 아프리카 흑인 사이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헤모글로빈의 이상으로 산소운반 능력이 떨어져 빈혈증세를 보이는 유전병이다. 일반인의 적혈구는 헤모글로빈으로 인해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