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셀
쎌
샐
쌜
세포
d라이브러리
"
cell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도로 점령할 수소연료전지차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시범운행하며 실증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은 2002년부터 JHFC(Japan Hydrogen & Fuel
Cell
)를, 유럽은 2003년부터 연료전지버스 프로그램을, 미국 에너지국은 2004년부터 HFP(Hydrogen Fleet Program)를 운영 중이다. 산업자원부도 지난해 11월부터 수소연료전지자동차 모니터링 사업을 시작했다.2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그림을‘마이크로그래피아’란 책에 상세히 기록했다. 세포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
cell
(셀)’도 로버트 훅이 최초로 만들었다 20세기……▶광학현미경이 가고 전자현미경이 오다!눈에 보이는 빛 대신 전자빔을 이용하면 수백만 배까지 물체를 확대할 수 있다. 1953년 최초로 전자현미경을 만든 ... ...
개는 죽지만, 세포는 옮겨 산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현재 세계의 개들 몸속에 살고 있다. 지난 8월 11일 세포생물학 분야 권위지 ‘셀’(
Cell
)에 실린 논문에서 영국 런던대의 로빈 와이스 교수는 개에서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인 ‘성기육종’을 연구한 뒤 이 같이 결론을 내렸다. 이 논문의 제3저자는 시카고대 통계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한국인 ... ...
항공 스포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 공기충진형 낙하산(ram-air canopy) : 가벼운 나일론 소재의 사각형 낙하산. 펴질 때 격실(
cell
)에 공기가 채워지며 양력을 받는다. 1m 하강할 때 수평방향으로 3~5m 정도 이동할 수 있으며 시속 30~50km까지 속도를 낼 수 있다.● 자동산개기(Automatic Activation Device) : 주낙하산에 이상이 생겼 ...
한국 최초의 우주실험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서 개발한 우주 저울은 물체를 가속할 때 ‘로드 셀’(load
cell
)이라는 센서를 이용해 물체에 미치는 힘을 잼으로써 질량을 알아내는 방식이다. 우주 저울은 질량을 아는 표준 추와 질량을 재고 싶은 물체를 동시에 가속시키면서 각 물체에 가해진 힘을 비교해 물체의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허가를 신청해 큰 화제를 모았다.김연수 교수는 “유전자 전달 개념이 도입된 세포 치료(
cell
therapy)가 앞으로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며 “현재 전체 유전자 치료의 약 60%는 이 방법을 쓰고 있고, 유전성·퇴행성 질환에서는 거의 90%가 바이러스 운반체를 이용해 치료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개발하고 있다. 신경세포 대신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신경교세포(glial
cell
)를 없애는 실험이다. 신경교세포를 일부만 제거하면 신경세포는 남아있지만 부작용 없이 시냅스를 차단할 수 있는데다 원 상태로 복구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복구가 가능한 뇌 손상기법을 ...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막으면서 계속 증식하도록 유지해야 하는데, 이를 ‘배아줄기세포주’(embryonic stem
cell
line)라고 한다. 배아줄기세포주는 특수한 환경에 보관하면서 계속 관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줄기세포가 오염되거나 죽고 만다. 또한 다른 세포로 분화해버리면 더이상 줄기세포라고 할 수 없다 ... ...
생명과학이 만드는 아름다운 예술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파란 불빛이 이리저리 흔들리는 모습 같다. 망막의 신경교세포인 ‘뮐러세포’(Muller
cell
)를 400배 배율로 촬영한 작품. 유령의 머리처럼 보이는 파란 부분이 염색된 핵의 DNA, 녹색으로 보이는 유령의 몸체가 뮐러세포다. 윗부분에 엷게 보이는 것은 망막의 광수용세포층이다 ... ...
나는 무엇에 이끌려 행동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하나둘씩 밝혀지면서 오늘날 우리는 뇌에 1000억개가 넘는 뉴런들이 신경교세포(glia
cell
)와 어우러져 질서정연한 배열을 하고 있으며, 이들은 시냅스에 의해 서로 연결돼 회로를 이룬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시냅스는 뉴런과 뉴런을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물이다. 시냅스에는 신경전달물질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