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셀
쎌
샐
쌜
세포
d라이브러리
"
cell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구조예측대회’ 2연패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2006, 2008년 2회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습니다.또한 올해는 생명과학 저널인 ‘
Cell
’에 발표한 논문에서 박테리아의 염색체 응축을 담당하는 단백질 복합체가 ‘고리모양’의 분자구조로 돼 있음을 단백질 구조 모델링과 실험을 통해 규명했습니다. 인 실리코 단백질 창의연구단은 단백질 구조와 그 ... ...
South Korea rejects disgraced clone license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last year sai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wang may have inadvertently created the first human embryonic stem
cell
s derived from human eggs alone. If it was true, it might be a quite mean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뒤 36시간이 지난 배아에서 부리를 형성한다고 추정되는 조직인 신경능세포(neural crest
cell
)를 떼어내 서로 바꿔치기했다. 그 뒤 11일이 지나 형태를 갖춘 태아를 조사한 결과 각자 상대편의 부리 모양으로 발생했음을 확인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처럼 전혀 다른 형태의 부리가 만들어지는데 공통의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사실을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2006년 11월 17일 생명과학분야 국제저널인 ‘셀’(
Cell
)에 실렸다.몸 속에서 아군과 적군을 알아보거나 세포에서 자신이 배달될 곳을 정확히 아는 것 모두 자신의 짝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작용에서 비롯된다. 오 단장은 “생체분자의 구조를 알아야 상대가 자신의 짝인지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최소유전체’(minimal genome)라고 하고, 최소유전체로 만든 세포를 ‘최소세포’(minimal
cell
)라고 한다. 최소유전체에 대한 연구는 생명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합성생명체를 만들기 위해 설계한 유전자회로를 시험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준다.벤터 박사의 목표는 생명체의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사이언스’ 역시 ‘황우석 쇼크’에서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셈이다. *CNS 저널‘셀’(
Cell
), ‘네이처’(Nature), ‘사이언스’(Science)의 앞글자로 세계에서 영향력이 가장 큰 저널의 대표주자들. 많은 과학자들이 CNS 저널에 논문을 싣는 날을 꿈꾸며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이유는 무엇일까. 인간의 경우 수정 후 4~5일째인 배반포(blastocyst)의 내부세포덩어리(inner
cell
mass)는 20여개의 세포로 구성돼 있으며 이 세포덩어리가 자궁에 착상해 하나의 개체로 분화, 발달한다. 배아줄기세포는 내부세포덩어리를 배양해 얻는데,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을 가진 ... ...
PART1 백신이 여는 질병 치료 르네상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세포에 비해 빠른 속도로 증식한다. 암세포가 생기면 일단 백혈구와 NK세포(natural killer
cell
)가 암세포를 공격한다. 이 둘은 인체에 이상한 세포가 들어오면 무조건 공격하는 1차 방어선이다. 그런데 암세포가 늘어 이 둘이 감당할 수 없게 되면서부터가 문제다. 면역계는 암이 고유세포이기 때문에 ... ...
에이즈 환자 울리는 단백질?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분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지난 8월 17일 생명과학저널 ‘셀 스템 셀’(
Cell
Stem
Cell
)에 실었다.립턴 박사팀이 쥐의 성체줄기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쥐의 뇌에서 기억과 학습을 담당하는 성체줄기세포(aNPCs)가 gp120에 노출되자 전체의 15%가 분화를 멈췄다. 손상된 뇌 세포를 재생하는 ... ...
PART1 가솔린 무너뜨리는 바이오에탄올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만드는데 관여하는 ‘AtBG1’ 유전자를 발견해 2006년 9월 생명공학 학술지 ‘셀’(
Cell
)에 발표했다. 이 유전자를 과다발현시킨 연료용 식물을 척박한 땅에 심으면 이곳을 바이오에탄올 ‘유전’으로 탈바꿈 시킬 수도 있다.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거나 활용한 사례가 거의 없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