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셀
쎌
샐
쌜
세포
d라이브러리
"
cell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피부에서 보송보송 털이 나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143페이지 사진).doi:10.1016/j.
cell
.2004.08.012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골수이식입니다. 또 수는 적지만 파킨슨병과 같은 뇌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신경줄기세포를 이식하는 시도도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걸쳐 해마의 약 3분의 1이 새로운 뉴런으로 대체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doi:10.1016/j.
cell
.2013.05.002 현재 과학자들은 살아 있는 마카크(macaque) 원숭이의 뇌에 BrdU를 직접 주사하거나, 살아 있는 쥐에게 다양한 항체 마커를 주입해 해마에서 뉴런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사람의 경우에는 ... ...
[과학뉴스]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미국 국립보건원(NIH) ‘팬캔서 아 틀라스(PanCancer Atlas)’ 프로젝트 연구팀은 10년간 암 33종을 대표하는 1만2000개의 유전자와 임상 정보를 분석해, 종양이 발생하는 원인과 과정을 총 ... 유형별로 분석한 만큼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효과 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16/j.
cell
.2018.03.03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중대한 선택의 순간입니다. ‘영양막(trophoblast)’으로 분화할 것인가, ‘내세포 집단(inner
cell
mass)’으로 분화할 것인가 하는 결정이죠. 영양막은 배아를 직접 이루지는 않지만 태반이라는 배아 발달에 중요한 배아 밖 조직을 만들어 내는 세포입니다. 내세포 집단은 장차 배아의 모든 기관과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29중요하다. 조윤경 UNIST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혈액에서 순환종양세포(CTC·Circulating Tumor
Cell
s)를 효과적으로 분리해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암 조직에서 떨어져 나와 핏속을 떠다니던 CTC가 다른 조직에 부착해 자라면 전이암이 발생한다. 이 세포를 미리 찾아내면 전이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지만, ... ...
[과학뉴스] 햄버거, 피자 좋아하면 만성 염증 생긴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햄버거와 피자 등 고지방 음식을 자주 먹으면 안 되는 이유가 최근 밝혀졌다. 아이케 라츠 독일 본대 선천성면역연구소 교수팀은 튀기거나 기름진 서구 식단이 몸에서 염증 반 ... 식단은 후성학적 변화를 일으켜 면역 반응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doi :10.1016/j.
cell
.2017.12.01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염색체 수에 이상 현상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세포는 ‘세포주기 확인점(
cell
cycle checkpoint)’이라는 기작을 작동시킵니다. 분열 중 염색체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는 경우, 이 기작을 통해 세포 분열의 진행을 막습니다. 염색체 수가 이상한 딸세포가 생성되지 않도록 애초에 막는 겁니다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변이로 인해 죽지 못했습니다. 이 실험에서 과학자들은 완전히 죽지 않은 세포(undead
cell
s)의 주변 세포 수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완전히 죽지않은 세포가 세포 분열을 지시하는 단백질을 만들어 분비했고, 이에 주변 세포들이 반응해 분열을 거듭했던 겁니다. 실제로 발달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를 통해 얼굴을 인식한다는 열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doi:10.1016/j.
cell
.2017.05.011). 제니퍼 애니스톤 세포는 결국 여러 얼굴 인식 세포 활동의 조합인 제니퍼 애니스톤 ‘패턴’의 일부였던 셈이다. 얼굴 인식 기능도 학습으로 발전지금도 뇌 과학자들은 얼굴 인식 과정을 밝혀내기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논문을 생명과학 학술지 ‘셀’에 발표합니다(doi:10.1016/j.
cell
.2006.07.024). 이미 분화한 세포를 역분화 방법을 통해 배아줄기세포와 비슷한 발달 잠재력을 가진 세포로 만드는 논문이었습니다. 당시 대학생이었던 저도 ‘아, 이런 방법이 있을 수 있구나’ 하고 깜짝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