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cell"(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과학동아 l2011년 09호
- 것이다.흥미롭게도 배아의 초기 발생단계에서 배아 내부에 있는 ‘안쪽 세포덩어리(inner cell mass, 줄여서 ICM)’도 분리해 다른 배아에 넣어주면 키메라 동물을 얻을 수 있고 기형암종을 유도할 수도 있다.이런 상황을 알게 된 에번스 교수는 1978년 케임브리지대 유전학과에 자리를 잡은 뒤 발생학자인 ...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인식할까.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이동통신사의 기지국과 항상 연결돼 있다. 기지국정보(Cell-ID)를 이용하면 대략적인 위치정보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 연결된 기지국과 주변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측정해 삼각측량방식으로 위치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오차범위가 ...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과학동아 l2010년 07호
- artificial life)’를 창조했다며 대서특필했지만 사실 JCVI에서 만든 ‘합성세포(synthetic cell)’를 인공생명체라고 부를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대다수는 ‘노(No)’라고 답한다. 저자들 역시 논문 어디에서도 인공생명체라는 말을 쓰지 않았다.인공생명체란 말 그대로 무생물에서 만들어낸 ...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주목받고 있다. 바로 살아 있는 미생물을 촉매로 쓰는 미생물연료전지(Microbial Fuel Cell, MFC)가 그 주인공이다. 국내 과학자들 연구가 물꼬 터 미생물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첫 시도는 1912년 영국 더럼대 마이클 포터 교수의 대장균 실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전류 생산이 매우 미미한 ...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과학동아 l2010년 02호
- 1상이나 1/2상은 10여 명 내외, 3상이나 2/3상은 50명 내외다. 이 회사 홈페이지(www.fcbpharmicell.com)에 들어가면 왼쪽 위에 팝업 창이 뜬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급성 뇌경색 환자치료 임상시험 피험자 모집’이란 제목 밑에 연세대 원주의과학대 원주기독병원에서 임상시험에 참여할 자원자를 모집하다는 ...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과학동아 l2009년 11호
-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T세포는 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 분자에 따라 킬러 T세포(killer T cell), 도움 T세포(helper T cell),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 세 가지 종류로 나뉜다. 항원이 들어오면 도움 T세포가 일종의 신호물질인 사이토카인을 분비해 킬러 T세포와 B세포의 활성을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면역글로불린E(IgE)가 분비된다. 그런데 면역글로불린E는 진피에 존재하는 비만세포(mast cell)를 활성화한다. 비만세포는 면역세포의 하나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주원인이다.이 세포의 표면에는 면역글로불린E가 붙을 수 있는 표면인자가 있는데, 알레르겐이 면역글로불린E와 결합하면 ... ...
- 세포 시계 되돌려 줄기세포 만든다과학동아 l2009년 07호
- 전분화능을 갖도록 유도했다고 해서 ‘유도전분화능 줄기세포’(iP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라고 부르기로 했다. 하지만 연구는 아직 생쥐에서 머물러 있었다.사람 배아줄기세포 대체하나이듬해 겨울 드디어 사람의 역분화 줄기세포가 나왔다. 그것도 미국과 일본에서 거의 동시에 말이다. 11월에는 ... ...
- ‘공기파도’로 모양 구분해 신약 효능 분석한다과학동아 l2009년 07호
- 있기 때문이다.권 박사는 “기존 질량분석기에 ‘이온 이동 분리칸’(Ion Mobility Separation Cell, 이하 IMS셀)을 더한 ‘시냅 HDMS’가 해답”이라고 말했다. 시냅 HDMS는 50~8만Da(돌턴, 1Da=1.67×10-24g(수소 원자의 질량))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IMS셀 안에 들어간 이온은 일정하게 진동하는 공 ...
-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과학동아 l2009년 04호
- 쉽지 않다. C4식물은 C3식물과 달리 광합성을 담당하는 기관이 유관속초세포(bundle sheath cell)와 엽육세포(mesophyll cell)로 나눠져 있다. C4벼를 만들려면 벼에서 C4증후군을 유도해야 한다. C4식물의 해부학적 구조를 살펴보면 광합성 산물인 포도당이 이동하는 체관부와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양분이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