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cell"(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포를 처리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발동하는 것이 후천 면역반응 중에서도 세포 매개(cell-mediated) 면역반응이라 불리는 면역시스템이다. 말 그대로 세포들이 면역 과정에 관여한다는 의미다. 그 주인공은 바로 골수에서 태어나 성숙한 뒤 비활성 상태로 몸 곳곳을 탐색하는 T림프구다. T림프구의 ... ...
-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모든 과정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핵심 단백질이 있다. 증식세포핵항원(PCNA‧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이다. PCNA는 가운데가 뚫린 고리 모양으로 DNA를 감쌀 수 있다. 복제가 일어나는 동안 PCNA는 DNA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복제에 필요한 효소와 단백질이 정확한 부위에 제대로 결합할 수 있도록 ...
- 8첩 곤충 반상, 밥상 위로 올라온 곤충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뺀 양)은 4.8% 늘고, 근육량도 3.7% 늘었다. 암세포에 대항하는 면역세포 중 자연살상세포(NK cell)와 암세포의 전이를 막는 세포독성 T세포(Cytotoxic T cell) 활성도 각각 16.9%, 7.5% 늘었다. 곤충 사육 농가는 2015년 724호에서 2018년 2318호로 크게 늘었다. 국립농업과학원은 올해 수벌번 ...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가 이끄는 ‘작은 실험실(SMALL Lab·Single Molecule Approaches to ceLL Lab)’ 얘기다. 작은 실험실에서는 10~1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인 세포보다 1000배가량 더 작은 나노입자를 합성해 세포의 단백질 정보를 찾아내고 있다. 세포 하나를 치료하는 ...
-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중이다. 단결정 태양전지판은 실리콘 원자를 결정으로 정제해 전지판을 이루는 단일 셀(cell) 전체가 하나의 실리콘 결정으로 이뤄진 태양전지다. 최근에는 제품의 효율이 22%까지 증가했다. 수명도 20년 내외로 길다. 셀이 여러 개의 실리콘 결정으로 이뤄진 다결정 태양전지(15~19%)보다 효율이 높다. ...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되지 않으며, 대부분이 유럽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음이 밝혀졌다(위 그림). doi: 10.1016/j.cell.2019.02.048특정 민족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한 유전 질환이나 약물 개발 연구를 다른 민족에게 적용하면 재현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인간 게놈에 개인 혹은 민족 간의 차이가 존재하기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뜻하는 ‘아교’란 이름이 붙었지요. 영어로도 풀을 뜻하는 글루(Glue)에서 유래해 ‘Glial cell’이라고 불린답니다.아교세포는 뇌 속에서 그 수가 가장 많은 세포로, 약 850억 개가 있을 것으로 추정돼요. 신경세포에 영양 물질을 공급하기도 하고, 신경세포가 신호를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주위로부터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픽토그램 ·적혈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활발해지면서 전세계 픽토그램이 점차 비슷해지고 있답니다. 적혈구(赤血球, red blood cell) 혈액은 크게 액체인 ‘혈장’과 고체인 ‘혈구’로 이루어져 있어요. 먼저 혈장은 전체 혈액의 55% 차지하면서 대부분이 물로 구성돼 있어요. 나트륨, 칼륨과 같은 전해질, 그리고 당분, 지방질과 같은 ...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래트의 세포를 가졌지만 정상적인 쥐로 자랐고, 수명도 정상 쥐와 비슷했다. doi: 10.1016/j.cell.2010.07.039그렇다고 모든 동물로 키메라 배아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키메라 배아는 유전적으로 유사한 동물 사이에서만 가능하다. 쥐의 배아세포에 래트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주입하거나, 돼지의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데도 성공했다.다중 산란 현상을 이용한 메타물질은 제작이 용이한 대신, 단위구조(unit cell)의 크기가 빛의 파장(λ)과 유사하거나 조금 작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λ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