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뉴스
"
밝기
"(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1400년전 아라가야 지배자 무덤천장에 새긴 별자리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성혈(星穴), 즉 별자리일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구멍 크기와 깊이가 제각각인 것은 별
밝기
를 의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단은 한국천문연구원과의 공동연구를 거쳐 서쪽에는 전갈자리, 남쪽에는 궁수자리를 새긴 것으로 파악했다. 동양에서는 각각 청룡별자리와 남두육성으로 통한다. 이 ... ...
VR용 초고해상도 OLED, 유리 위엔 올릴 수 없다는 ‘고정관념’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색상 필터를 넣어 PPI를 늘리는 방법이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VR 디스플레이에 쓰기에는
밝기
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다. OLED는 어느 기판에 뿌리느냐에 따라서도 성능이 좌우된다. 실리콘 웨이퍼 위에 올리는 방식과 유리에 올리는 방식 두 가지 제조 방법이 있다. 실리콘 방식은 반도체 공정을 쓸 ... ...
삼성전자, 안전성·효율 다 잡은 차세대 QLED기술 '네이처'에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9.11.28
태양 직사광선을 쪼였을 때와 비슷한 수준까지 밝게 빛을 낼 수 있었고, 흐린날 수준의
밝기
로 빛을 내면 수명이 100만 시간까지 길어 내구성도 높았다. 연구팀의 김태희 연세대 화학과 연구원은 “현재 상용화된 퀀텀닷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했다”며 “디스플레이 분야에 돌파구가 ... ...
가상현실 구현하는 고해상도 OLED, 대면적 유리 기판에 올려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8
OLED에 컬러필터를 적용하는 WOLED 방식보다 화소 집적도를 높이는 공정 개발이 어렵지만
밝기
와 전력 효율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VR·AR용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기판 소재는 유리와 실리콘 웨이퍼로 나뉘는데 유리 기판은 고해상도 구현에 불리하지만 생산 단가가 낮아 대형 ... ...
100년에 13번만 펼쳐지는 '수성의 태양면 통과쇼'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이 현상이 쓰인다. 외계행성이 공전하고 있는 별을 우연히 가리면서 지나갈 때 별빛의
밝기
가 줄어드는 데 이를 분석하면 외계행성의 존재를 예측할 수 있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인 미셸 마요르 스위스 제네바대 교수와 그의 제자 디디에 쿠엘로 제네바대 교수도 이 방법을 이용해 1995년 처음 ... ...
태양보다 3.3배 무거운 초소형 블랙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가능한 수치임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틸링해스트 반사 격자 분광기(TRES)와 별의 위치와
밝기
를 정밀 관측하는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 위성을 활용해 이 별과 쌍성계를 이룬 천체가 태양 질량의 3.3배 질량의 블랙홀임을 확인했다. 톰슨 교수는 “블랙홀을 검색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며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밝게 빛나지만 행성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30광년 떨어진 곳에서 보면 태양과 지구의
밝기
차이는 50억 배에 이른다. 게다가 거리에 비하면 지구는 태양에 달라붙어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구분하기도 쉽지 않다. 외계행성에 대한 논의는 16세기에도 있었고 19세기 말부터 관측이 시도됐지만 2 ... ...
우주 최강 자석별 '마그네타' 두 별 충돌로 태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해 강력한 자기장을 보일 수 있음을 입증했다. 그림에서의
밝기
는 자기장의 세기를 뜻한다. 하이델베르크대 제공 우주에서 가장 강한 자석 천체인 ‘마그네타’는 두 별이 충돌하며 생겨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파비안 슈나이더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천문학센터 연구원과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변화를 이용해 외계행성을 찾아낸다. 하지만 지구에서 관측해 행성을 찾을 때는 별의
밝기
보다 정밀도가 높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찾는다. 최근에는 외계행성 발견을 넘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물질인 물이나 메탄 등을 외계행성에서 찾는 연구도 활발하다. 영국 ... ...
차세대 디스플레이 '퀀텀닷' 21배 밝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1배 높은 것으로 측정됐다. KAIST 제공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꼽히는 양자점(퀀텀닷)의
밝기
를 기존보다 21배 이상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효율 좋고 내구성 높은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신소재공학과 정연식·전덕영 교수와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