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뉴스
"
밝기
"(으)로 총 382건 검색되었습니다.
케플러망원경 지구만 한 외계행성 18개 추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27
별빛이 천천히 감소했다가 가장 어두워진 다음, 다시 비슷한 속도로 천천히 증가해 원래
밝기
를 유지하는 변화를 세밀하게 탐지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알고리즘을 이용해 지구의 절반 크기부터 지구보다 2배 정도 큰 외계행성 18개를 찾아냈다. 이 중 하나(EPIC 201238110.02)는 항성으로부터의 ... ...
양자점과 OLED 결합한 차세대 발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이 하이브리드 백색 발광소자는 그동안 개발된 양자점 기반 백색 발광소자 중 효율과
밝기
수준이 최고다. 김 교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고체 조명의 고효율 백색 발광소자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발광소자가 내는 빛의 스펙트럼과 실제 소자(작은 사진). ... ...
‘빛의 풍차’가 우주먼지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8
더 잘 흡수하고 산란한다”며 “작은 먼지의 양과 내부 분포는 초신성이나 최초 은하의
밝기
에 영향을 준다. 이번 연구로 초신성을 이용해 우주의 크기와 나이를 측정하거나, 우주 최초의 은하를 연구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6일자에 소개됐다다. ... ...
SF까지 넘보는 대륙의 힘 '유랑지구'
2019.05.04
그런데 저는 이게 좋은 선택인지 모르겠습니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적색왜성이거든요.
밝기
가 태양의 0.17%밖에 안 되는 데다가, 적외선이 많이 나와 사람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은 그보다 훨씬 더 적습니다. 그러면 지구를 별에 가까운 궤도에 놓아야 하는데, 조석 고정 현상 때문에 한쪽 면만 ... ...
우주망원경 장착된 차세대소형위성1호 본격적으로 임무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차세대소형위성 1호’가 고도 575km 상공 초기운영을 통한 성능검증을 마치고 과학관측 및 우주핵심기술 검증과 같은 임무에 착수한다 ... 호는 광시야 적외선 영상분광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사자자리 나선은하(M95)의 파장대별
밝기
도 측정했다. 과기정통부 제공 ... ...
더 밝고 전기 적게 쓰는 QLED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양자점에서 더 많은 전자와 만나 더 밝은 빛을 냈다. 연구팀은 “기존 소자와 비교해
밝기
는 최대 4.5배, 전류효율은 1.7배, 전력 효율은 2.3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적록청(RGB) 양자점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서 상용화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증강현실(AR ... ...
[블랙홀 첫 관측]블랙홀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중력으로 인해 붕괴하면서 탄생한다. 이때 붕괴로 인해 항성이 폭발을 일으켜 며칠간
밝기
가 100만 배 이상 세지는 초신성 현상이 나타난다. 초대질량 블랙홀은 아직 그 기원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다만 블랙홀이 위치한 은하와 동시에 형성됐다고 본다. 태양 질량의 수십 배에서 수천 배의 ... ...
인공위성으로 본 중국, 초미세먼지 원인 이산화질소에 하얗게 뒤덮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측정할 수 있다. 동영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산화질소의 누적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밝기
로 표현했다. 미세먼지의 원인으로 지적되는 중국 대부분의 지역과 한국은 동영상의 처음부터 밝게 빛난다. 지도 오른쪽 상단부의 중국 베이징 지역 일대를 비롯한 중국의 공업지대는 넓은 부분에서 ... ...
[3·1운동 100주년]일제강점기 조선인 과학자를 찾아서
2019.02.27
천문학 박사학위를 받은 이원철은 독수리자리의 에타별이 팽창과 수축을 되풀이하며
밝기
가 변하는 맥동 변광성이라는 사실을 새롭게 밝혔다. 이 때문에 언론에서는 에타별을 그의 이름을 딴 ‘원철성’으로 부르기도 했다. 하와이 이민 가정에서 태어난 박달조는 오하이오주립대에서 화학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NIRSpec)로 토성을 관측했다. 그 결과 삼원자수소 이온(H3+)의 방출선(파장 3.953μm, 3.622μm)의
밝기
가 위도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H3+는 토성의 이온층을 이루는 주요 성분 중 하나로, 토성 대기가 태양빛을 받을 때 생겨난다. 그런데 관측해보니 H3+의 밀도가 위도에 따라 들쑥날쑥했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