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집
모집
채취
집합
뉴스
"
채집
"(으)로 총 420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성 금 화합물 먹고 순금 알갱이 내놓는 '박테리아 연금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13
일어난다. 지난해 김 교수는 극지연구소와 공동으로 남극 라르센C 빙붕 인근 바다에서
채집
한 해양퇴적물에서 철을 만들어내는 미생물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다. 한국 쇄빙선인 아라온호가 2013년 항해 당시 추출한 2.38m 길이 빙하 코어에서 베타프로테오박테리아와 델타프로테오박테리아 강 ... ...
공기 중 바이러스 현장서 진단하는 일회용 키트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2
키트 형태의 플랫폼을 개발했다. 검사를 원하는 곳에 키트를 두면 키트에 부착된 공기
채집
기가 공기를 빨아들인다. 부유 바이러스는 유리 섬유로 이뤄진 다공성 패드에 달라붙는다. 필터에 수집된 바이러스는 액체를 흘려 줘 모세관 현상을 통해 검출 영역으로 옮긴다. 검출 영역에는 특정 ... ...
‘빗물이 산을 깎는다’ 숫자로 증명
과학동아
l
2020.11.11
브리스톨대와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등 공동연구팀은 히말라야 산맥 동부에서
채집
한 모래를 분석해 이 지역의 강우량이 침식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했다. A Helm Sath/애리조나주립대 제공 빗물이 산을 깎는다는 내용은 교과서에도 실려 있을 만큼 널리 받아들여진 정설이다. 그런데 빗물이 지형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베누’의 시료를 기다리는 3개의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1.08
사이언스는 이날 ‘초기 태양계의 표본을 채취했다’는 제목을 달아 베누의 암석 시료
채집
을 기념했다. 이번 호에는 베누의 구성 성분을 분석한 연구만 3개가 실렸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가 2016년 보낸 탐사선 ‘오시리스-렉스’가 현지시간으로 10월 20일 베누 표면에 있는 시료를 채취하는 데 ... ...
동아시아인 형성 핵심 몽골 인류의 6000년 변천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따라 어떻게 바뀌었는지 확인한 결과다. A는 청동기 이전부터 청동기 초기까지의 수렵
채집
인 시기다. 동쪽에 고대북동아시아인(ANA)가, 북쪽에는 ANA에 고대북유라시아인(ANE)가 섞여든 인류가, 서쪽에는 유럽에서 온 인류가 발견된다. 이들은 서로 섞이지 않은 채 1000년 이상 격리 상태를 유지했다. ... ...
사냥은 남성 몫?…선사시대 여성도 대형동물 사냥
연합뉴스
l
2020.11.05
"그러나 노동의 성별 구분이 좀 더 공평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난 인류의 수렵
채집
시절과는 기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이 분명해 졌다"고 강조했다. ... ...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와 10만년 넘는 소모전서 패해 멸종"
연합뉴스
l
2020.11.04
활과 창 등 새로운 무기나 더 많은 인구를 유지해 수적 우세를 확보할 수 있는 수렵
채집
기술 등과 같은 것이 현생 인류의 손을 들어줬을 수도 있다고 제시했다. [EPA=연합뉴스] 그는 선사시대 전쟁에서 몽둥이로 머리를 가격하는 것이 상대를 제압하는 효율적인 방법이었을 것이라면서 현생 ... ...
[인간 행동의 진화] 시대가 변하면 명당도 바뀐다
2020.11.01
농업 인구가 전체의 1%에 불과한 세상이다. 미래 인류는 농경 사회의 조상보다는 수렵
채집
사회의 '더 오랜' 조상과 더 비슷하게 살아갈지도 모른다. 새로운 시대의 명당은 분명 배산임수의 양지바른 곳은 아닐 것이다. 물론 강남 3구도 아닐 것이다. 내가 강남에 살지 못해 하는 말이 아니다. ... ...
3만4000년 전 동아시아인은 코스모폴리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유럽의 DNA가 많았다. 이선복 교수는 “북쪽 지역이 개방적인 초원지대인 만큼 수렵
채집
인 사이에 교류가 자주 있었을 것”이라며 “(유전자의) 확산 속도도 빨랐을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말했다. 이번 분석 결과를 통해 동아시아인의 유전적 영향을 정리한 그림이다. 네안데르탈인이 가장 먼저 ...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한다면 하루면 확인 가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활용했다. 연구팀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해양 모니터링을 위해 올해 동해에서
채집
한 해수 샘플을 제공받아 자동핵종분리장치로 시험했다. 100ml의 해수 샘플에서 스트론튬90을 분리하는 데 걸린 시간은 50분이었다. 이 내용은 순수응용화학 국제저널인 ‘탈란타(Talnata)’ 4월 25일자에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