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스페셜
"
천체
"(으)로 총 37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 북서부 나타난 때아닌 유성우…정체는 재진입 실패한 스페이스X 로켓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이동 속도도 시속 2만 7000km로 빨랐기 때문이다. 조너선 맥도웰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
물리센터 연구원은 26일 트위터에 “재진입 자체는 전날 알았지만 재진입 시점이 5시간 정도 부정확했다”며 “이는 진입 위치가 13만 5000km 차이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25일 미국 북동부를 지나쳐간 ... ...
NASA "소행성 '아포피스' 100년간 충돌 가능성 없다"…문 대통령 탐사계획 밝힌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3.28
정지궤도위성의 고도인 3만 6000km보다 가깝다. NASA는 “태양계의 유물을 행성을 위협하는
천체
로써가 아닌 과학적 호기심으로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전례없는 기회”라고 밝혔다. 한국도 2029년 아포피스 소행성 탐사를 위해 탐사선 개발 등 계획을 수립한다는 목표다. 소행성이 지구에 근접하면 적은 ... ...
[과학게시판] 원자력硏 ‘대전 원자력안전 시민참여위원회’와 MOU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8시부터 과학관 유튜브 채널 ‘과학관 TV’를 통해 실시간으로 생중계되며 소등 행사,
천체
관측 행사, 과학토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 김성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호남권 인문사회대 학장과 인문사회 분야 지원 강화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간담회를 2 ... ...
주변 물질 삼키고 에너지 내뿜는 블랙홀 자기장 모습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마치 TV에 수신된 전파 신호를 영상으로 구현하는 것과 유사하다. 대만 타이페이
천체
물리연구원의 박종호 연구원은 “EHT는 현재 새로운 관측소가 추가되고 있고 성능이 향상되고 있다”며 “향후 EHT 관측 연구로 블랙홀 주변의 자기장 구조를 더 정확하게 드러내고 블랙홀 주변 물질의 특성에 ... ...
화성 하늘에 첫 헬기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비행에 성공하면 인류가 1903년 지구상에서 동력 비행을 시작한 이후 118년 만에 다른
천체
에서 비행을 하게 된다. 지구상 첫 동력비행은 1903년 12월 17일 라이트 형제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킬 데빌힐의 모래언덕에서 글라이더 '플라이어'를 타고 12초간 40m를 날며 이뤄졌다. 인지뉴이티에는 이를 ... ...
노화 불가피 ‘허블’ 대신할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지상 테스트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주경의 지름이 6.5m로 세계 최대 규모의 차세대 우주망원경이다. 우주의 별과 은하,
천체
와 행성계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비밀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
한국 첫 소행성 탐사 타깃 ‘아포피스’ 지구 근방서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JPL)에 따르면 아포피스는 100년 내 지구 충돌 확률이 100만분의 1보다 높은 지구위협
천체
4개 중 하나다. 여기에는 소행성 ‘베누’도 포함된다. 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는 2016년 발사돼 2020년 10월 베누에 착륙, 토양 샘플을 채취하는 데 성공했다. ... ...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피해 수습에만 570억원…재건 여부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주로 외계에서 오는 신호를 포착하는 연구에 활용됐다. 미국의
천체
물리학자인 조지프 테일러와 러셀 헐스는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으로 강한 자기장을 갖고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인 쌍성 펄서를 발견했고 이에 관한 연구로 199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
약 130억 광년 밖 초기 우주서 제트 내뿜는 퀘이사 관측
연합뉴스
l
2021.03.09
가장 멀리서 관측된 "전파가 밝은"(radio-loud) 퀘이사에 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
천체
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에 발표했다. 퀘이사(Quasar)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며 밝은 빛을 내는 '활동은하핵'(AGN)을 가진 은하를 가리킨다. 연구팀이 관측한 'P172+18'은 퀘이사 ... ...
우주 보는 가장 큰 눈 ‘거대마젤란망원경’ 6번째 반사경 제작 착수…2029년 관측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GMT 가동 예상 시점은 2029년이다. 가동이 시작되면 ‘허블 우주 망원경’보다 10배 선명한
천체
영상 관측이 가능하다. GMTO는 “GMT는 인류 역사상 가장 먼 우주를 관측할 수 있는 거대 망원경으로, 빅뱅 직후 우주 급팽창에 의한 우주 생성의 수수께끼를 푸는 실마리가 될 것”이라며 “지상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