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스페셜
"
천체
"(으)로 총 3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의 서재]유명 과학자들이 추천하는 애장 도서 15선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토대가 된 플라톤의 공화국도 즐겨 읽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또 다른 저명한
천체
물리학자인 닐 디그래스 타이슨은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즐겨 읽었다고 했다. 그는 레딧이라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직접 “지구상의 다른 모든 생명체와의 친족 관계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일상 되어 가는 중력파 관측 벌써 50건 돌파…"다체급 블랙홀 관측 가능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프랭크 오메 중력물리학연구소 연구원은 “태양 질량과 비슷한
천체
부터 태양의 90배 질량의 블랙홀까지 매우 다양한 사례가 관찰되고 있다”라며 “O3 운영 하반기에도 20개 이상의 추가 중력파 신호 후보가 있는 만큼 더 다양한 사례들이 연구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코로나19 감염자와 거리 2배면 위험은 절반'…외계생명체 찾는 방정식으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학술지 ‘피직스 오브 플루이즈’ 10월호에 발표했다. 드레이크 방정식은 1961년 미국
천체
물리학자 프랭크 드레이크가 1961년 인간과 교신할 수 있는 외계생명체 수를 계산하기 위해 만들었다. 변수들의 곱으로만 이뤄져 형태가 단순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연구팀은 드레이크 방정식에서 등호를 ... ...
NASA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20일 소행성 '베누' 표본 채집 생중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분류된다. 22세기 말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2700분의 1 정도로 높은 ‘지구접근
천체
’다. 베누는 45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형성된 소행성으로 암석 표본에는 당시의 비밀을 그대로 감추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NASA는 베누를 탐사하고 소행성 표본을 수집하기 위해 8억 달러(약 9122억 원 ... ...
태양은 외롭게 태어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산소 동위원소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반면 지구와 달, 화성, 소행성 등 암석형
천체
의 암석 물질에 포함된 산소의 동위원소는 O-17이나 O-18 등 무거운 동위원소의 함량이 태양보다 높다. 천문학계에서는 그 이유가 자외선이 일산화탄소를 분해할 때 무거운 O-17이나 O-18로 이뤄진 무거운 ... ...
16일 오전 남극 상공에서 옛 소련 위성과 중국 로켓 파편 충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사진을 올렸다. 조나단 맥도웰 트위터 캡처 조나단 맥도웰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
물리센터 박사는 자신의 트위터에 우주 쓰레기 중 하나는 옛 소련이 쏘아 올린 항법위성인 ‘파루스(PARUS)’라고 밝혔다. 파루스는 1974년 처음 발사된 무게 800kg의 대형 위성으로 지름 2m, 길이 17m에 이른다. ... ...
지구에 붙잡힌 '작은 달' 알고보니 54년전 임무 실패한 로켓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주변을 돌게 될 물체가 발견됐다. 천문학자들은 이 물체가 자연적으로 생긴 소행성 같은
천체
가 아니라 54년 전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달 탐사선을 보내기 위해 발사했던 로켓의 잔해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AP통신은 지구가 일시적으로 붙잡은 ‘작은 달’이 소행성이 아니라 54년 전 ... ...
블랙홀 빨려든 별, 국수처럼 늘어났다가 초속 1만km로 흩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근처 별을 조석교란해 국수처럼 늘어나는 과정에서 발생한 빛을 포착해
천체
물리학저널에 발표했지만, 부서진 별의 특성이나 파괴 과정 등을 자세히 파악하기엔 정보가 부족했다. 연구팀은 칠레에 위치한 유럽남방천문대(ESO) 초거대망원경(VLT)와 신기술망원경(NTT)의 자외선 및 엑스선, 가시광선 ... ...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 포착, 표준우주모형 바뀔까
과학동아
l
2020.10.08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마시모 메네게티 이탈리아 국립
천체
물리연구원 볼로냐
천체
물리관측소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HST)과 초거대망원경(VLT)으로 초거대 은하단 MACSJ1206 등 3개의 은하단을 관측하던 중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수십 배가량 강한 중력렌즈 현상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블랙홀 존재 입증한 '특이점 정리' 미래 물리학을 예견하다
2020.10.07
분야에서 선정되었다. 이는 그동안의 관례에 비추어 볼 때 이례적이기도 하지만 최근
천체
물리 분야에서의 과학적 성과를 반영하고 있는 면도 있다. 중력파, 다중신호 천문학 등 향후의 발전이 더 크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연구자들의 관심과 분발을 기대한다. 강궁원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