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두의 N-S 방정식수학동아 l2019년 07호
- 10개쯤 가능성을 떠올리면 1개쯤은 맞는데 N-S 방정식은 100개 상상해도 100개 다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그래도 아이디어를 상상하고 뭔가 떠올랐을 때는 정말 즐거워요. 검증하기 전까지는요. 제가 아는 어떤 수학자는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검증하기 전에 미리 와인을 사서 축하 파티를 ... ...
- 후보6. 수학자 마음 사로잡은 비둘기집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양말이 4켤레니 총 8개가 섞여 있겠죠? 운이 좋으면 2개만 집어도 짝이 맞겠지만, 최악의 경우 4개를 집었을 때 모두 종류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를 더 집으면 이 양말은 4종류 중 하나일 테니까 앞서 집은 4개 중 하나와 짝이 맞을 겁니다. 그래서 5개만 집으면 최소 하나는 짝이 맞게 되는 ... ...
- 탐험┃인도, 첫 시도에 성공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저비용 고효율로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은 자체 개발한 발사체 덕분이었다. 메이븐의 경우 발사에 사용한 아틀라스V 로켓에는 러시아 엔진이 탑재돼 있지만, 인도는 발사체의 모든 부품을 국산화해 비용을 낮췄다. 이 같은 발사체 기술에 힘입어 인도는 현재 세계 5위권의 우주 강국으로 발돋움했다. ... ...
- 영감┃우주로 가는 탑승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프로젝트를 진행한 뒤 지구로 돌아온다. 첫 발사는 2023년으로 예정돼 있으며, 성공할 경우 마에자와는 달에 근접한 최초의 민간인으로 기록된다. 디어문 프로젝트를 위해 마에자와는 음악, 미술, 건축 등 분야별 예술가 6~8명과 함께 탑승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그는 조종석을 제외한 스타십의 전 ... ...
- 우주로봇을 잘 조종하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정 : 로버는 우주에서 혼자 활동하는데, HRI가 왜 필요한가요?●김 : 화성 탐사 로버의 경우, 5600만km나 떨어진 지구에서 사람이 원격으로 일일이 조종을 해야 해요. 로버에게 손을 댈 수 없으니 무척 조심스럽죠. 따라서 조종이 어려우면 연구자들의 연구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요. 그래서 저는 ... ...
- 신비┃인간을 왜 '별의 먼지'라고 하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잔해는 어마어마하다. 1987년 2월 23일 폭발이 관측된 대마젤란은하의 초신성 1987A의 경우, 폭발 이후 24년 동안 태양 질량의 40~70%에 해당하는 우주먼지를 만들어냈다. 이는 지구 같은 행성을 20만 개 만들고도 남을 양이다. 먼지 형태로 은하 전체에 퍼진 별의 잔해들은 뭉쳐져 새로운 별을 형성하기도 ... ...
- [따끈따끈한 수학] 실현 가능한 수를 찾아라! 유리수 지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조건이 있는 상황에서 구하고자 하는 대상이 최대 또는 최소가 되는 경우를 따지는 수학 분야를 ‘극단조합론’이라고 부릅니다. 오늘 소개할 연구는 극단조합론의 시초가 된 문제에서 출발합니다. 2018년부터 올해까지 여러 수학자 그룹에서 결과를 내고 있는데요, 그중에는 한국인 수학자도 여럿 ... ...
- [매스미디어] 스파이더맨 : 파 프롬 홈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그 안에는 지구랑 비슷한 다른 지구가 더 있을 수 있지. 실제로 다중 우주론 연구자들이 경우의 수를 따져본 결과 다른 우주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밝히기도 했어.이러한 다중 우주의 차원에 구멍이 생기면서 우리 지구에 온 미스테리오는 엘리멘탈 크리쳐스에 대해서 잘 알고 있대. 엘리멘탈 ... ...
- 영감┃어서오세요, 우주 레스토랑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힌두교인에게는 소고기를 뺀 식단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이슬람인이나 유대인의 경우 각각 할랄이나 코셔 등 각 율법에 맞는 음식을 제공해야 한다.그간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우주 식품이 개발됐다. 1960년대 초까지 진행된 미국 최초의 유인 우주계획인 ‘머큐리 계획’에서는 튜브형 음식과 ... ...
- [JOB터뷰]지구를 지키는 재활용 밴드, 지지밴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많았답니다. 해외 사이트를 주로 참고했는데, 똑같이 만들어도 제대로 소리가 나지 않는 경우가 허다했어요. 또 이음새가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아 오래가지 못하는 악기도 많았지요. 각목을 이어 붙여 만든 기타로 공연하다 줄이 계속 풀린 적도 있어요. 이음새가 자꾸 떨어져 나가 줄이 팽팽하게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