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탄생 100주년 기념 총출동!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020년, ‘로봇(robot)’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지 딱 100년이 되는 해를 맞았습니다! 이를 기념해 학계에서 주목 받는 로봇들이 모였는데요. 모두 자기가 앞으로 100년 뒤 로봇의 미래를 책임질 것이라고 큰소리를 치고 있네요. 함께 가서 들어보시죠!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탄생 100주년 ... ...
- 용 닮은 탈라루루스 공룡의 머리, 완벽 복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갑옷공룡’ 중 하나예요. 1952년, 몽골 바얀시레층*에서 처음 발견된 초식공룡이지요. 처음 발굴한 탈라루루스 머리뼈는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들의 머리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없었어요.그런데 서울대학교 이융남 교수팀과 캐나다, 일본, 몽골, 포르투갈 국제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훨씬 나중인 19세기의 일이에요. 1819년, 독일의 과학자 프리들리프 페르디난트 룽게가 처음으로 커피콩에서 추출했지요.카페인은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아데노신’의 작용을 방해해요. 우리가 열심히 뛰어놀거나 공부를 하면 피곤하고 졸린 이유는 뇌세포에 아데노신의 농도가 높아졌기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장영실은 이천과 함께 천문 관측의 원리를 살펴 실제 기구를 만드는 일을 담당했다. 처음으로 망원경을 만들어 목성의 위성까지 관측한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같은 인물이 바로 조선에서는 장영실이었던 셈이다. 연구에 돌입한 장영실은 행성과 별의 위치, 시간, 고도 방위를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따라 알아가는 과정이 너무나도 매력적이었다. 초등학교 때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처음 읽은 뒤 물리학을 포함해 과학 전반을 더 깊이 알고 싶어졌다. 부모님을 직접 설득했고, 그때부터 과학동아를 읽기 시작했다. 과학동아를 보면서 과학을 더 깊이 알아갈 수 있었다. 초등학교 때부터 ... ...
- [동아리탐방] 수학으로 메이크 잇! 대전대신고 FINDER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그래서 떠올린 게 수학 실력과 창의력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메이커’ 활동이다. 처음에는 3D 프린터에 3차원 대수 방정식을 입력해 구조물을 만들거나 레이저 조각기로 모빌 같은 수학 교구를 만들었다. 학생들이 점점 메이커 활동에 재미를 붙이자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위해 중소기업벤처부와 ... ...
- 소프트웨어와 촉감으로 정교해진다!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자세를 잡아 화제가 됐지요. 이처럼 힘 있게 움직이면서도 넘어지지 않는 2족 보행로봇은 처음이었죠. 박종우 교수는 “하드웨어도 정교하겠지만, 각 부품을 조종하는 소프트웨어 기술도 한몫한 것”이라고 설명했어요.소프트웨어는 로봇의 각 관절이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계산해요. 관절의 수가 ... ...
- 수리류를 추적하고 지키는 시민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차 중독으로 죽어가는 독수리를 본 후로, 지금까지 독수리에게 먹이를 주고 있어요. 처음에는 뭘 먹여야할지 몰라 닭고기 등 닥치는 대로 먹이를 줬지요. 당시 사람도 먹기 힘든 생닭을 독수리에게 준다고 욕 많이 먹었습니다. Q 독수리 식당은 언제, 어디에서 열리나요?독수리가 우리나라에 ... ...
- [탐험대학] 실패에서 배운다!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계획을 밝혔지요.로켓 프로젝트에 멘토로 참여한 페리지항공우주 신동윤 대표는 “처음으로 로켓을 만들어 발사한 고다드의 로켓은 겨우 12m를 날았다”며 “실패에 대해 나쁘게 얘기하는 사람을 만날 수도 있지만, 꾸준히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면 영웅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청소년 ... ...
- [한장의과학] 비밀을 간직한 사하라의 눈 … 리차트 구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불린답니다. 리차트 구조는 1965년 미국의 제미니 4호 우주선이 지구를 돌 때 처음 발견했어요. 하지만 이 구조가 생성된 원인에 대해서는 과학자들의 의견이 분분해요. 과학자들은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했거나 화산 활동으로 인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했지요. 하지만 주변에서 운석 충돌로 인해 ...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