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양이 눈을 가진 물고기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속 물고기는 2019년, 파푸아뉴기니에서 처음 발견된 먹테얼게비늘 종 시파미아 아르나제(Siphamia arnazae)예요.캘리포니아 과학아카데미 연구팀이 2019년에 새롭게 발견한 71개의 동식물 중 하나지요. 섀넌 베넷 박사는 “지구를 수십 년 동안 수색하고 있지만, 지구상의 자연종 90% 이상은 여전히 알려지지 ... ...
- 용 닮은 탈라루루스 공룡의 머리, 완벽 복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갑옷공룡’ 중 하나예요. 1952년, 몽골 바얀시레층*에서 처음 발견된 초식공룡이지요. 처음 발굴한 탈라루루스 머리뼈는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들의 머리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없었어요.그런데 서울대학교 이융남 교수팀과 캐나다, 일본, 몽골, 포르투갈 국제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복제라는 개념은 부정적으로 묘사된다. 현실1885년 독일 발생학자 한스 드리슈가 처음으로 성게 배아를 둘로 분리해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두 마리의 성체를 만들어냈다. 이후 개구리, 도롱뇽, 소 등의 동물이 인공적으로 복제됐다. 그러던 1996년 체세포 핵 이식으로 태어난 최초의 포유류인 복제 양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통해 사이배슬론 대회에 참가할 선수를 모집한다는 얘기를 듣고 공 교수를 찾아왔다.처음에 장비를 착용했을 때는 웨어러블 로봇을 믿지 못했다고. 로봇의 반응이 늦어 혹시라도 고꾸라지면 더 크게 다치진 않을까 두려웠던 것이다. 하지만 웨어러블 로봇의 도움을 받아 다시 걸을 수 있다는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장영실은 이천과 함께 천문 관측의 원리를 살펴 실제 기구를 만드는 일을 담당했다. 처음으로 망원경을 만들어 목성의 위성까지 관측한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같은 인물이 바로 조선에서는 장영실이었던 셈이다. 연구에 돌입한 장영실은 행성과 별의 위치, 시간, 고도 방위를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발견했다. 그는 두 단백질이 신경세포의 신호전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처음으로 제안했다.우리 몸의 유전자는 2만3000여 개지만, 단일 시냅스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는 최대 2000개 정도로 추정 중이다. 특히 시냅스 접착 단백질은 현재까지 약 30여 종의 단백질군(family)이 확인됐을 뿐이다.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수학에 구멍이 났다면?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단어의 의미를 확인하는 것처럼 말이죠.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지난해 배운 수학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끝낼 필요가 없다는 점입니다. 보통 기초를 메꾸기 위해 지난 학년의 수학책을 1단원부터 마지막 단원까지 다 공부하려고 하다가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단원 별로 쪼개서 지금 당장 ... ...
- 수리류의 여정을 쫓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00여 마리의 독수리가 겨울을 나기 위해 찾아와요. 이들의 이동 경로는 2013년 처음으로 밝혀졌어요. 이전까지는 날개깃에 출발지를 표시하는 날개 표지가 전부여서 출발지와 도착지만 알려졌답니다. 한국환경생태연구소 이한수 대표는 2013년 1월 경남 고성에서 포획한 독수리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분화했다는 주장이 1990년대 초 처음 나왔고, 2000년대 초에는 백두산에서 화산지진이 처음 포착됐다. 화산지진은 뜨거운 마그마가 움직이면서 주변의 암석을 깨뜨리며 발생한다. 백두산이 활화산일 가능성이 커졌다. 여기에 2017년 영국과 스위스 공동연구팀은 백두산 근처 나무화석의 나이테에서 ... ...
- [1920~2020, 로봇 100년] 로봇 혁명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핫’한 신조어를 탄생시켰다. 바로 ‘로봇(robot)’이다. 2020년은 로봇이라는 단어가 처음 쓰인 지 100년이 되는 해다. 사실 인간의 형상을 닮은 자동화된 기계의 개념은 오래전부터 있었다. 작가 차페크도 여기에 기반해 ‘강제 노동(robota)’이라는 뜻의 체코어에서 이름을 딴 ‘로봇’을 등장시킨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