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빅뱅의 산물, 수소와 헬륨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인간을 포함해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과 생명체, 손에 닿지 않는 우주의 모든 것까지, 물리적으로 이 세상의 모든 것은 극도로 응축된 한 점에서 갑자기 팽창하기 시작해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됐습니다. 얼핏 황당할 수도 있는 이 생각의 출발점이 지금은 널리 알려진 ‘빅뱅(Big Bang·대폭발)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가장 논란의 여지가 없는 학문, 누가 풀어도 바뀌지 않는 절대 진리. 아마 수학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가진 인식일 겁니다. 실제로 수학은 그 논리성과 이성에 충실하며 우리 삶에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수학이 거짓말을 하다니요? 심지어 학생들이 믿어 의심치 않는 수학 교과서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탐정 사무소가 털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탐정 사무소가 털렸어요! 도둑이 든 것 같아요.” 동화나라 친구들이 활짝 열린 문을 손가락으로 가리켰어요. 깜짝 놀란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부리나케 안으로 들어갔지요. 그런데 이게 웬일! 내부는 나가기 전과 똑같은 모습이 아니겠어요? 사무소를 샅샅이 살펴본 개코 조수가 말했어요. ... ...
- 인공강우로 미세먼지 해소될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구름은 발달했지만 비는 오지 않았다.” 2월 27일 기상청과 환경부가 발표한 ‘인공강우’ 실험의 최종 결과는 아쉽게도 ‘실패’였다. 전 국민적인 관심사인 미세먼지를 해결할 방안으로 1월 25일 서해상에서 인공강우 실험을 진행했으나, 강우가 관측되지 않아 개선 효과를 확인조차 할 수 없 ... ...
-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보세요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포도 한 알을 반으로 자른다. 아, 그런데 완전히 두 동강 내면 안 된다. 천천히 반으로 자르다가 마지막 부분은 아주 살짝 붙어 있게 해야 한다. 그러면 포도 두 알이 붙어 있는 모양이 된다. 이제 이 포도알을 전자레인지에 넣는다. 그리고 동작 버튼 누르기. 1초, 2초, 3초…. 전자레인지 안에서 갑자 ... ...
- 하현준 대한화학회장 인터뷰 "원소 118개 영상 공개해 화학의 가치 알릴 것"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화학은 물질의 성질과 변화를 다룹니다. 그래서 화학은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창조의 과학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세상 모든 것을 다루는, 과학의 중심이 되는 학문이 바로 화학입니다" 국제연합(UN)은 주기율표가 화학과 인류 발전에 기여한 업적을 기리기 위해 150주년인 올해를 ‘세계 주기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2월 말, 일본의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Hayabusa) 2’는 태양계의 낯선 소행성 ‘류구(Ryugu)’의 표면에 널린 자갈과 흙을 담는 데 성공했다. 4월에는 류구의 표면 아래의 흙을 파헤쳐 귀환 캡슐에 넣는다. 우리나라는 최근 국내외 관측시설 8대를 이용해 매년 12월 지구를 향해 유성우를 뿌리는 근지 ... ...
- 음악 들으며 공부하면 창의력 떨어져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흔히 음악을 들으며 공부나 작업을 하면 분위기가 부드러워지고 능률이 향상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와는 정반대의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엠마 스레드골드 영국 센트럴랭커셔대 심리학부 연구원팀은 19~56세 남녀를 세 그룹으로 나눠 ‘복합원격연상검사(CRATs)’라는 언어 창 ... ...
- 스스로 길을 찾은 수학자, 클레르 부아쟁수학동아 l2019년 04호
- 2019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유럽 지역 수상자는 클레르 부아쟁 콜레주 드 프랑스 수학과 교수다. 수학자로는 처음으로 이 상을 받은 부아쟁 교수는 호지 추측에 기여한 공로로 유럽수학회상, 클레이연구상,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상 금메달을 받은 대수기하학의 대가다. 시상식이 열린 3월 1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수학을 책으로만 공부하다 보면 아쉬울 때가 있다. 뫼비우스의 띠나 클라인 병 같은 도형은 여러 방향으로 돌려가면서 살펴보면 이해하기 쉬운데, 한 방향에서만 바라본 이미지만 담은 종이나 칠판으로 익히려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해주고자 움직이는 수학을 전파하는 선생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