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인간을 비롯한 영장류는 팔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동물들은 팔 대신 네 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거나 지느러미, 또는 날개를 갖고 있기도 합니다. 동물은 자신이 살고 있는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모양의 팔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육상동물에게는 팔 대신 다리가 네 개인 경 ... ...
- [나의 미국 유학일기] 스탠퍼드의 '인생 수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스탠퍼드대의 가장 큰 장점은 모든 분야가 고루 우수한 종합대학이라는 것이다. 덕분에 수업도 다양하게 들을 수 있다. 한국 친구들이 PC방에서 거의 ‘전쟁’처럼 수강신청을 하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다. 스탠퍼드대는 체육이나 미술 등 인원수가 제한될 수밖에 없는 몇몇 수업을 제외하고는 ... ...
- [나의 영국 유학일기] 재시험 낙제하면 강제 휴학, 깐깐한 임페리얼칼리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영국 대학은 9월에 새 학기가 시작돼 다음해 6월에 끝난다. 크리스마스 방학과 부활절(Easter) 방학을 가진 3학기제로, 올해 1월부터 2학기가 시작됐다. 스코틀랜드를 제외한 영국의 대학들은 3년제 학부 과정을 운영한다. 석사과정도 한국과 달리 1년 코스로 짧은 편이다. 그래서 1학년 때부터 전공을 ... ...
- [수학뉴스]함수의 지평을 넓힌 로랑 슈와르츠수학동아 l2019년 03호
- 1915년 3월 5일은 프랑스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가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날입니다. 슈와르츠는 ‘분포’라는 개념을 함수의 미분 가능성을 증명하는 데 도입해 수학자와 물리학자들이 다루는 함수의 영역을 확장시킨 수학자입니다.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1950년 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필즈상을 수상 ... ...
- 아무렇게 뽑아 더해도 같은 집합일까? 에르되시의 합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수학자들은 자연수 전체에서 일부만 뽑아 그 수들이 어떤 성질을 가지는지 살핍니다. 그 수들에 색깔도 칠해보고, 더해도 보고, 등차수열도 만들고 말이죠. 최근 이런 숫자 뽑기에 관한 적어도 40년 묵은 문제가 풀렸습니다.자연수 전부를 빨강과 파랑 2가지 색깔 중 하나를 골라 그 색으로 나타냅니 ... ...
- [수학공부 꿀팁]수학자가 되어 π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알베르트 아이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행성의 궤도 계산 등 원주율 π는 다양한 곳에 쓰여 중요하다. 그런데 원주율을 발견하기 전에 살던 옛날 사람들은 원주율을 어떻게 구했을까? 배숙 용인 청덕중학교 수석교사의 수업을 들으면 그 궁금증이 풀린다. 스스로 질문하고 몸소 탐구하며 저절로 깨달 ... ...
- [동아리탐방] 수학 보드게임 들고 전국으로! 거제연합수학동아리수학동아 l2019년 03호
- 2019년 1월 말. 수학 교사와 동아리 학생들이 함께 개발한 수학 보드게임이 상품으로 출시돼 절찬리에 판매 중이라는 제보가 들어왔다. 어떤 교사와 학생들일까? 궁금한 마음에 거제도까지 한걸음에 달려갔다.“보드게임을 워낙 좋아해서 가지고 있는 것만 400개가 넘습니다. 학생들이 직접 수학적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진짜 과학은 과학 소설보다 훨씬 더 이상하고 훨씬 더 만족스럽다.”- ‘호킹의 빅 퀘스천에 대한 간결한 대답’ 中 2018년 3월 14일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타계하고, 그로부터 1년이 흘렀다. 살아생전 블랙홀의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 이론 등 과학적인 업적을 남겼던 그는 이 세상에 ... ...
- [과학뉴스]물고기도 ‘거울 테스트’ 통과했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거울 속 반사된 모습을 자신으로 인식하는 능력을 가진 동물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 원숭이, 돌고래, 몇몇 조류뿐이다. 그런데 최근 물고기도 이 ‘거울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독일 막스플랑크 조류연구소와 일본 오사카시립대 공동연구팀은 청줄청소놀 ... ...
- 청소년 자해, 스스로를 벌주는 아이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아이들이 날카로운 도구로 자신을 찌른다. 긁고 때리고 기어이 피를 낸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소위 ‘자해러’의 사진이 끊임없이 올라온다. 유튜브에는 ‘OOO 박고 자살하자’는 노래가 유행가처럼 올라온다. 전문가들은 자해로 감정을 표현하는 이유가 말로 하기 어렵거나 소용없다고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