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한가위의 달이 대보름달일까?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것이다.달이 작아진다?!최근 미국의 한 연구팀은 달이 조금씩 줄고 있다고 주장했다. 달
표면
에서 발견한 절벽 모양의 단층을 조사한 결과, 10억 년 동안 달의 크기가 100m 줄었다는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 한가위만 같아라 PART 1 너랑 나랑 얼마나 가까울까? PART 2 아름다운 한복 PART 3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없앨 수 있다. 공기방울이 유기물과 만나는 시간이 길수록, 공기방울이 작아서 전체
표면
적이 넓을수록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없앤다.산호를 기르고 싶다면 물속에 칼슘을 넣어 주는 칼슘리액터도 필요하다. 산호가 성장하는 데 칼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칼슘리액터는 탄산칼슘을 이용해 칼슘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치료법을 개발할 목적으로 뇌를 조종할 수 있는 작은 칩을 만들었다.미니브레인 칩의
표면
에는 64개 전극이 배열돼 있어 이 위에 살아 있는 뇌 조직을 올려놓으면 전기적인 활동을 관찰할 수 있다. 뇌의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뇌파 전위 기록 장치(뇌파계)를 초소형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하면 쉽다. 이 ... ...
약한 태풍이 센 태풍보다 더 많은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가장 큰 태풍의 세기는 태풍이 발생하는 해역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것. 다른 하나는 바다
표면
온도가 상승하면 큰 폭풍이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코랄 박사는 “온난화로 인해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갈 경우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강력한 태풍이 불 것”이라고 말했다 ... ...
염색의 진화, 쪽빛부터 카멜레온까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아니라 몸에서 나는 땀에도 반응한다. 이 섬유는 색을 내는 펄과 실리카를 혼합해 직물
표면
에 바른 것이다. 건조한 상태에서는 실리카가 빛을 반사하지만, 습기가 차면 실리카가 투명해지면서 펄이 색을 낸다. 물 밖에 있다가 물속에 들어가면 색이 달라지는 수영복의 비밀은 바로 솔베토크로믹 ... ...
꽃잎에 숨어 있는 과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나노 크기의 염료분자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TiO2를 많이 쓴다.
표면
에 염료분자가 화학적으로 흡착된 나노 입자 반도체 산화물 전극에 태양빛이 흡수되면 염료분자는 전자를 내놓는다. 이 전자가 여러 경로를 통해 투명 전도성 기판으로 전달돼 최종적으로 전류를 생성한다.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떨어지면
표면
의 물은 오히려 밀도가 떨어진다. 때문에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표면
에 머물려고 한다. 그렇지 않았다면 어떻게 됐을까. 만일 물이 4℃ 이하로 온도가 떨어져도 계속 밀도가 높아지면 차가운 물이 아래로 내려가 바깥의 찬기가 아래로 전달된다. 물속에 사는 생물들이 더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시대 성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대항하는 항체다. M2단백질은 수소이온이 바이러스 안으로 들어가는 통로로 바이러스의
표면
에 있다. 수소이온은 바이러스가 숙주의 세포와 결합하게 해 준다. 따라서 항체가 M2단백질을 공격해 수소이온이 통과하지 못하게 막으면 바이러스는 숙주의 몸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M2단백질은 인플루엔자 ... ...
뱅글뱅글 도는 태풍의 모양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해수면의 온도가 27° 이상 높아지면 바다
표면
에 있는 공기가 위로 올라간다. 이때 바다
표면
은 상대적으로 공기의 양이 적어져 기압이 낮아진다. 이렇게 기압이 낮아지면 바람이 밖에서 안으로 불어 들어온다. 부족해진 공기를 채우기 위해 바람이 불며 공기가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바람은 중심을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걸리는데, 위그선으로는 딱 1시간 20분이 걸린다고 해. 위그선은 위그선에 달린 날개와 물
표면
사이에 갇힌 공기의 힘으로 날아. 갇힌 공기는 주변의 물체를 밀어 내는 힘이 있거든. 그래서 위그선의 날개를 위로 띄워 준단다.Big 3 미래의 바다 ▲ 유비쿼터스로 실시간 배 안의 장비를 점검해 사고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