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사지
힘
하늘지기
하늘
기지
슬기
d라이브러리
"
지기
"(으)로 총 2,039건 검색되었습니다.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모험심이 무척 강한 젊은 천재 수학자에 의해서 현대 전자계산학의 이론적 기초가 다져
지기
시작했으며, 아직도 그의 이름을 사용한 튜링머신(Turing machine)이란 이론적 모델이 전산학의 전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현대의 모든 컴퓨터는 튜링머신의 능력에 미치지 못한다. 튜링머신은 전선과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흔치는 않지만 콧속의 작은 혈관이 작은 외상으로도 터
지기
쉬운 사람이 있다. 이 경우는 대개 유전성이다. 이런 사람은 코의 혈관벽이 너무 약하기 때문에 보통 방법으로는 코피를 멎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출혈을 자주 일으키는 점막 부위에 대한 피부이식수술 등 비상한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함께 어울려 보내던 나는 4학년이 가까워 오면서 나름대로 진로를 모색하느라 분주해
지기
시작했다. 공부는 계속하고 싶은데, 당시 서울대의 형편은 원하는 연구를 할 수 있는 시설과 환경이 못되었다. 유학을 결심한 나는 미국의 대학들을 알아보고 편지를 보내고 필요한 시험들을 치르면서 바쁘게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특히 대동지지에서 김정호가 인용한 65종의 사서는 아마도 그의
지기
였던 최한기나 최성환에게서 빌려온 책들이었을 것이다.사실 그의 신분을 엿보게 하는 자료도 거의 없는 형편이다. 단지 몇가지 문헌을 통해 유추해 볼 도리밖에 없다. 김정호가 평민출신이었음을 보여주는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mongoliensis)과 유사하다. 아무튼 국내에서 발견된 공룡화석중 적어도 과(科)가 분명히 밝혀
지기
는 이것이 처음이다. 1974년에도 경남하동군 진교면 양포리 해안에서 5㎜ 정도의 작은 이빨화석을 발견했으나 이것이 파충류의 이빨이라는 사실만 알려졌을 뿐 그 종류는 아직 분명치 않다.대결층(大缺層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태양전지차의 마찰력 감소, 태양전지의 효율 증대, 새로운 공기역학적 기술축적이 이뤄
지기
를 기대하고 있다.이밖에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총연장 2백98㎞를 질주하는 '아메리칸 솔라컵'이 매년 개최되고 있고, 캐나다에서는 '캐나디언컵'대회가 6백30㎞ 도로에서 펼쳐지고 있다.그런가 하면 일본 ... ...
국내에서도 차세대 구리 레이저가 활동중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레이저가 등장하기 전까지 난치성 질환으로 꼽히고 있었다. 간혹 피부이식수술 등이 행해
지기
도 했으나 비용이 엄청나 거의 손을 대지 못했다.한편 파장이 5백11㎚인 녹색 레이저빔은 구리 레이저의 개성을 한껏 빛내주고 있다. 다른 레이저로는 대처하기 어려웠던 검은색 또는 갈색의 피부 병변을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워낙 다양하기 때문이다. 가장 흔한 원인인 리노바이러스도 그 구조가 일부 밝혀
지기
는 했지만 혈청형이 1백여가지나 되기 때문에 백신의 개발은 적어도 가까운 장래에는 어려울 것이다. 오히려 숙주의 면역기능이 새로운 바이러스의 출현을 조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많은 연구의 초점이 ... ...
4. 화학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공포심이 생겨 전투의욕이 저하되고, 이들을 옮기거나 돌보는데 따로 인력이 필요해
지기
때문에 전투력이 크게 삭감되는 것. 또 신경제보다는 국제여론의 압력을 상대적으로 덜 받을 수 있으므로 페만에서 화학전이 터진다면 먼저 수포제가 살포될 가능성이 크다.이라크는 최근 미국이 개발한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방해하는데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찬 날씨때문에 식물의 이동통로가 쇠약해
지기
때문에 물질수송이 방해를 받는 것이다. 허술해진 영양물질 이동통로의 복구속도도 식물의 종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사탕무나 북반구의 엉겅퀴는 회복이 빨리 이뤄지지만 콩이나 남방의 엉겅퀴는 매우 느린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