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앱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다! 하인슈타인 하이드리밍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우리 주변에는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아이디어와 과학기술로 해결하는 ‘디지털 사회혁신’이 이뤄지고 있어요. 대기 시간이 긴 민원 전화를 ... 아이콘과 앱을 디자인하는 UI/UX 디자이너가 되는 꿈도 꾸게 되었지요. 미래에는 직업을 1개만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없을 거예요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2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말하게 한답니다(say) .두 몬스터 오브젝트에는 모두 ‘onOverlap’이라는 기능이 두 개씩 들어가 있어요. 그중 하나는 대포의 일반 공격(포)을 의미하는 ‘fire_shooting_a’ 오브젝트와, 다른 하나는 특수 공격(폭탄)을 의미하는 ‘effect_boom_b’ 오브젝트와 충돌했을 때 몬스터의 HP가 깎이도록 하는 ... ...
- [특집] 가볍게 들고다니며 시간을 알아보자. 혼개통헌의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위치에 제약이 있으며 날씨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죠. 현대에는 이런 단점을 개선해 ‘플라네타리움’이라는 장비를 사용합니다. 플라네타리움은 천문학과 밤하늘에 대한 교육, 밤하늘을 보며 배를 운행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을 위해 쓰이는 일종의 3차원 천체 투영기입니다. 학술적으로는 ... ...
- [기획] 2020 도쿄올림픽 스케이트 보딩, 서핑 그리고 스포츠 클라이밍수학동아 l2021년 09호
- 가까운 복잡한 경사면에서 다양한 공중기술을 펼치는 경기입니다. 종목당 선수 20명을 5개 조로 나눠 두 라운드씩 4번의 예선 경기를 진행하며, 예선 합산 랭킹에서 높은 순으로 8명이 결선을 치릅니다. 스트리트는 각 라운드마다 ‘런(45초간 경기장을 질주하며 기술을 펼침)’과 ‘트릭(난간 등 ... ...
- [기획] 스포츠 클라이밍, 무게중심을 이동시켜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이때 기본이 되는 자세가 ‘삼지점’입니다. 즉 양손과 양발을 합한 4개 가운데 세 개가 항상 벽의 홀드에 붙어 삼각형 모양을 이뤄야 몸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습니다. 다른 홀드를 잡을 때는 하체를 이용해 무게중심을 이동하며 팔을 뻗어야 합니다. 또 순간적인 움직임 이후엔 몸의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 안내자가 생각하는 수학의 쓸모는?수학동아 l2021년 09호
- 것 역시 결국 수학을 포기하게 만드는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습니다. 자신이 이해한 개념이 어디까지인지 제대로 파악하고, 그 지점부터 공부를 시작해야 제대로 알게 된다는 겁니다. 하지만 그는 이어 “우리나라의 수학교육이 빠른 진행에만 치중해 자신의 위치를 깨닫고 다시 시작할 시스템이 ... ...
- [한페이지 뉴스] 단백질 구조 예측 AI 소스 모두에게 공개되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구조를 밝혀냈다. doi: 10.1101/2021.05.10.443524 백 연구원은 “로제타폴드와 알파폴드2 모두 공개된 단백질 서열과 구조를 토대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당연하다”며 “AI는 단백질 구조 예측 분야의 돌파구이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사용해 생물학, 의학 등이 더욱 ... ...
- 1.5℃ 온난화 20년 이내 도달...피할 길 더 좁아졌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심각하게 만들었다는 데 논란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파리협정 체결 이후 130여 개국이 앞다퉈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몰두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지난해 12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기후변화에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하지만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중립을 ... ...
- 탄소중립 달성, 눈속임 넘어 실질 감축 이뤄야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보완적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며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근거한 산정 방법을 계속 개선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수치와 큰 오차는 없다”고 말했다. 정확도를 더 높이기 위해 한국에서는 탄소 배출량이 높은 사업장들을 중심으로 자체 보고한 탄소 배출량을 민간 업체에서 재검토하고 있다 전 ... ...
- [논문탐독] 이미지와 자연어를 연결 짓는 새로운 딥러닝의 등장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수 있는 개수를 정하고 나면 학습 중간에 이를 바꿀 수 없습니다. 만약 분류할 수 있는 개수를 추가하고 싶으면 처음부터 다시 학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산삼과 도라지 분류기를 만들었는데, 여기에 인삼도 구분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고 싶다고 해봅시다. 인삼 이미지를 새로 모아야 합니다.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