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외 또다른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펄사행성들도 태양계 행성들처럼 무거운 행성이 멀리서
궤도
운동을 하는지,
궤도
가 원
궤도
에 가까운지, 혜성이 있는지 등의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PSR 1257+12 주위의 행성은 한가지 사실을 이미 알려주고 있다. 즉 천문학자들이 생각지도 못한 장소에서 행성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자연의 무한한 ... ...
지구의 나이까지 알아 맞힐 수 있는 절대연대 측정방법 5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나눈다.
궤도
를 벗어난 전자는 외부에서 열을 가하면 형광 빛을 내면서 정상
궤도
에 진입한다. 앞의 피션트랙과 뒤의 전자각현상은 각각 FT법과 TL법의 기초가 된다. FT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광물에 기록된 피션트랙은 앞에서 설명한 세 계열의 자발핵분열로 생긴 방사선(주로 알파입자의 ... ...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속한다. 그 지름이 태양의 약 1천배에 가까우며 거리로 나타내면 수억㎞(대략 목성의
궤도
)에 해당하는 크기다. 또한 이 별자리의 중심부분인 삼태성의 동쪽에 위치한 말머리 성운은 전하늘에서 가장 잘 알려진 멋진 암흑성운이다. 밝은 성운을 배경으로 어두운 성간물질이 말머리 모습을 하고 있는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호는 예정된 실험 네가지 중 세가지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1백분에 한번씩 지구
궤도
를 돌고 있다. 우리별에 부여된 실험 네가지는 다음과 같다. 우리 성공을 지나면서 한반도 사진을 찍어 지상국에 전송했으며, 10월3일에는 개천절을 맞아 축시와 축하메시지를 우리말로 방송하는 우리말 ... ...
휴스턴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많은 어린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자세한 훈련과정들이 리얼하게 소개된다.우주
궤도
차를 타고 존슨우주센터로 가서는 우주비행사들이 무중력상태에서 훈련하는 모습을 참관하기도 하며 우주선콘트롤센터와 우주정거장관제센터에서 우주공간에서 활약중인 우주선과 어떻게 교신하는지를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천체 물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케플러(J. Kepler)에게 조차 예외가 아니었다. 그가 행성의
궤도
가 원이 아닌 타원임을 발견한 순간 "평생의 일을 모조리 쓰레기통에 버리고 싶은 심정"이라고 외쳤다고 했다.후에 갈릴레이(G. Galilei)는 망원경을 통한 관측을 통해 프톨레미의 천동설이 틀리며 ... ...
'파이어니어'와의 안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파이어니어 12호라는 종이 사라진 날이었다. 이 인공위성은 1978년 12월 4일 금성의
궤도
로 진입한 이래 줄곳 자료를 송신해 왔다.그러나 파이어니어 12호는 1961년 소련의 베네라 1호가 금성에 도착하면서부터 시작해 그후 쏘아올려진 약 35개의 금성탐험 탐사기중 하나에 불과하다. 금성의 대기에 관해 ... ...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자기 부상 열차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게 된다. 아무튼 EXPO를 계기로 한단계 비약하게 될 자기부상열차 연구개발이 본격적인
궤도
에 오르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인 배려, 관련 부처의 긴밀한 협조, 연구소와 기업의 지속적인 연구개발 노력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1975년 8월과 9월 보름 간격으로 바이킹 1, 2호를 발사했다. 이들은 10개월 간의 비행 끝에
궤도
모선에서 분리돼 화성에 착륙하는데 성공했다. 두 우주선은 이로부터 4년 동안 화성에 머물면서 표면온도 대기밀도 바람속도 토양분석 등 각양각색의 실험을 수행해 그 결과를 지구로 전송했다. 특히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실험해본 때도 올챙이들은 정상적으로 헤엄을 쳤다. 반면에 지구에서 수정된 후 우주
궤도
상에서 깨어난 올챙이들은 꼬리를 접고 보다 작은 원을 그리며 다른 올챙이들에 비해 반대방향으로 헤엄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우주왕복선 엔데버호는 1백55마리의 살아있는 올챙이들과 함께(물론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