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궤도"(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라볼라 안테나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위성에서는 이를 받아 다시 지상으로 내려 보내주는 것이다.동경 1백16도의 정지궤도(적도 상공의 3만5천7백86km 지점, 보르네오섬 상공)에 놓여질 우리의 무궁화호 위성은, 한반도에서 보면 남남서 방향으로, 지평선으로 부터 약 37도 정도 올려다보이는 곳에 놓이게 된다. 물론 공교롭게도 이 쪽 ... ...
- 「과학입국」 초석을 다지다과학동아 l1992년 05호
- 부임할 때는 이미 과기처가 발족한지 4년이 되는 해였지만 정책이나 조직적인 활동이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있었다. 과학 기술정책 수립의 원칙도 없었고 이미 수립된 정책들도 여기저기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이래서는 안되겠다 싶어 나는 우선 장기적인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3대 정책기본 ... ...
- 테마에세이/인간과 환경⑤ 쓰레기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은 깡통과 찢어진 구두, 음식 찌꺼기들이 위성처럼 지구의 궤도를 돌고 있는 끔찍한 광경은 아마 꿈에도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 ...
- 1 대기권을 뚫어라과학동아 l1992년 05호
- 미국의 HSCT프로그램, 유럽의 2세대 콩코드계획이 완료되면 초음속여객기가 등장할 것이며 곧이어 극 음속 오리엔탈 익스프레스가 모습을 드 ... 독일의 젱거도 길이 25m, 폭 12m, 무게 80t으로 프랑스의 에르메스보다 대형이다. 저궤도에 4t의 페이로드를 운반할 수 있는 우주항공기가 될 것이다 ... ...
-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과학동아 l1992년 05호
- 매 시간당 수 개 정도의 유성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연중 특별한 때, 즉 지구가 혜성의 궤도를 통과하게 될 때에는 무척 많은 유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것을 유성우(meteor shower)라 부르는데 이때에는 매 시간당 대략 1백개 가까운 유성을 볼 수 있다.시각적인 이유 때문에 유성우는 복사점(radiant)이라고 ... ...
- 스타시티과학동아 l1992년 05호
- 미래에 불안을 느꼈음을 애써 부인하지는 않았다.옛소련은 86년 2월 우주정거장을 지구궤도 4백km 지점에 쏘아올렀다. 그전까지 원시적인 우주정거장 역할을 했던 살류트 시대는 사라지고 새로이 미르 시대가 열린 것이다. 우주정거장은 몇명의 승무원이 거주하면서 우주공간에서의 아주 미미한 ... ...
- 새모습으로 활약 시작한 핼리탐사기 「선구호」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있다는 설을 세계 최초로 밝힌 직접적인 관측데이터라는데 큰 의미가 있다. 새로운 궤도에 투입된 선구호는 앞으로 수년간 활약할 예정이다. 올 7월에 발사된 지자기권 꼬리 탐사위성(GEOTAIL)과의 공동관측도 기대된다 ...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천구의 연주운동이라 부른다.지구는 1년(약3백65일)동안 태양을 1바퀴(3백60°)공전하므로 궤도상에서 약 1°를 움직이게 된다(그림10). 따라서 어젯밤 자정에 남중했던 별은 오늘밤 자정에 남중하지 않고(그림10)에서처럼 반드시 서쪽으로 약 1° 치우쳐 있게 된다.이는 물론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 ...
- 독성 동물에서 천연 항생제 얻는다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원하는 세포에 정확하게 독성물질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파충류생화학이 본궤도에 올라 뱀독의 본질이 좀더 자세히 밝혀진다면 제약회사들이 앞다퉈 뱀사냥에 나서게 될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주로 먹이나 적을 향해 발사됐던 뱀독이 방향을 바꿔 인간의 미생물을 향하게 될 날도 ... ...
- 디스커버리호 3개국 과학자 동승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어떤 영향을 주는가도 조사했다.사실 지구에서 1백 84마일(1마일은 약 1.6㎞) 떨어진 궤도 위를 비행하고 있는 디스커버리호에 가해지는 중력의 크기는 지구위에서 받는 중력의 1천분의 1 수준이다.이밖에도 바다새우의 양식실험, 냉장고에 콤프레서 대신 음파를 활용할 때의 효능실험, 무중력하에서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