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d라이브러리
"
못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세대 심리코드 우리 결혼했어요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신어서 행복해지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그녀도 익숙함이 주는 만족을 포기하지는
못
한다. 늘 새로운 구두를 찾는 인영도 사실 단골 매장만 간다. ‘8대 2’ 법칙을 지키는 셈이다.뇌에는 신상품에 반응하는 부분이 있다.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 신경영상학과 비안카 위트만 교수팀은 새로운 것을 볼 ... ...
천문대에서 역사와 문화 배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재미가 배가될 것이다.도시에 사는 사람은 밤하늘에 총총히 떠 있는 별빛을 보지
못
한다. 도시를 밝히는 조명 때문이다. 별빛을 보며 성찰할 시간이 없어서인지 이들은 마음의 눈을 잃어버린 채 각박하게 살고 있다. 이번 여름에 마음 속 감수성을 깨우고 성찰의 시간을 갖고 싶다면 저자가 안내하는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적어지면 식욕도 떨어진다.반면 잠도
못
자는데 살이 찐다는 사람들이 있다. 잠을
못
자면 그렐린의 농도가 높아져 식욕이 당긴다. 2008년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패트릭 스트롤로 교수는 20대 남성 12명을 이틀 동안 4시간만 자게 한 뒤 그 변화를 살폈다. 그 결과 수면부족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검사 ... ...
1957년 조지 윌리엄스 교수의 자연선택 담은 노화진화이론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설명한다.그렇다면 생명체는 왜 정교한 메커니즘으로 영원한 젊음을 유지하지
못
하고 이처럼 노화라는 반갑지 않은 현상을 감수할까. 다윈보다 더 다윈적인 진화론자로 평가받는 윌리엄스 교수는 노화란 생명체가 자손을 가장 많이 보기 위한 자연선택의 결과라고 주장한다.여기서 중요한 역할을 ... ...
'내 생애 최고의 순간'을 위하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팀장은 초등학교 시절 야구선수로 활동하며 프로선수를 꿈꿨지만 “‘나라님도 해결
못
한다’는 빈곤을 떨칠 유일한 대안은 과학기술”이라는 부모님의 권유에 과학자로 진로를 바꿨다.‘쇼’로 인기몰이 중인 KTF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을 개발하는 정윤필 차장은 학창시절 수학을 좋아한 ... ...
콘센트에 꽂아 인터넷하는 '아폴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인터넷 속도가 떨어지는 점이 아쉽다. 사용자 환경에 따라 최대 속도인 85Mbps에 크게
못
미치는 경우도 있다. 속도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용자라면 꼭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 ...
우리 집 뒷강에 물귀신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하지만 당신이 사용한 망이 촘촘한 그물은 어린 물고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지
못
하게 되어 있어요. 불법으로 동자개를 잡고 있었으니 나소심 군에게 거짓말을 할 수밖에 없었겠죠!”닥터고글의 날카로운 눈썰미에 낚시꾼은 할 말 을 잃고 말았다.“동자개는 5~6월이 산란기예요. 이제 막 알을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거절당하자 “통계를 보니 OECD 평균은 만난 지 3번 만에 키스하는데 우리는 5번이 넘도록
못
했잖아”라며 너스레를 떤다. 이런 통계가 설득력이 있을까? 책을 읽고 난 뒤 여기 소개된 영화를 보는 재미도 쏠쏠할 것 같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사이먼 싱 지음 | 박병철 옮김 | 영림카디널 | 1만 300 ... ...
미래로 씽씽~! 첨단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자동차를 만나 보았습니다. 이 자동차들은 가격이 너무 비싸거나 기능이 완전하지
못
해 아직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쉬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진정한 미래의 자동차는 언젠가 여러분의 손에 의해 만들어질 테니까요.여러분이 상상하는 미래의 자동차는 어떤 모습인가요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이런 단백질이 뭉쳐져 독성을 띨 가능성을 차단한다”며 “세포내 신경독성은 잘
못
접힌 프리온 단백질 조각이 프로테아좀에 달라붙어 프로테아솜의 기능을 무력화시킨 결과”라고 설명했다.1982년 프리온의 실체가 밝혀진 이후 프리온 연구는 단백질의 구조 변화가 질병, 특히 신경퇴행성 질병이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