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공개돼 있어 마음만 먹으면 풀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2017년 대회에 나온 문제를 소개합니다. 1. 우연히 종이 두 장을 발견했다. 한 장에는 알파벳이 규칙 없이 나열돼 있고, 크기가 같은 다른 한 장에는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설마 암호문? 두 장을 겹쳐서 보는 것까지는 알겠는데, 어떻게 해야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탈락의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지만 부주의함의 표상으로 감점 요인이 되는 만큼 자기소개서의 경우 최소 10번 이상 읽고 고쳐 쓰길 권한다”고 말했다. 한두 분야 뛰어난 ‘능력자’ 선호KAIST는 정원의 70% 이상을 선발하는 수시 일반전형의 경우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사회적 역량, 영어활용능력 ... ...
- 두리안과 잭푸르트, 반전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리고 그에 못지않은 지독한 냄새로 묘한 궁금증을 자아내는 잭푸르트에 숨겨진 수학을 소개합니다. 생김새만 보면 두리안은 먹음직스러운 과일과는 거리가 멀어요. 두리뭉실한 몸통에 뾰족한 가시가 온통 솟아있어 만지는 것부터가 쉽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냄새는 어찌나 지독한지 먹고 싶은 ... ...
- 수학킹 만드는 보드게임 매트리킹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하면 긴장도 풀 수 있고 새로 배울 개념에 대한 거부감도 줄어들 거예요. 오늘 소개할 ‘매트리킹’은 준비운동에 딱 좋은 보드게임이에요. 매트리킹은 간단한 규칙만으로 재밌게 수학 개념을 익힐 수 있는 온라인 보드게임으로, 최근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 수학문화축전에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것이다. 앞으로 칭화대를 포함해 중국 과학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독자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한중일 세 나라는 수천 년에 거쳐 이웃이자 애증의 관계를 형성해왔다. 앞으로도 경쟁과 협력을 계속할 수 밖에 없는 숙명 속에 중국의 과학기술을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일이 조심스러운 건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있습니다. 그 중 많은 반려인이 고민하는 질문을 꼽아 이번 호부터 하나씩 여러분에게 소개하려고 합니다. 조금 부끄러운 내용인데요. 우리 강아지가 자꾸 똥을 먹습니다. 인터넷에 찾아보니 영양결핍이라고 해서 좋다는 영양제는 이것 저것 다 먹여봤는데,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똥을 먹는 걸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어떤 역할을 맡았는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에 질문이 집중됐어요. 학생부와 자기소개서에 적힌 내용이 제가 실제로 한 일이 맞는지 확인한다는 느낌이었습니다.” 학부생 연구 지원하는 KAIST 선택오 씨는 “고등학교 때 다양한 사람을 만나는 일도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사람마다 생각의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측정기술 협회 메아주레멘트 팔라이는 홈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레이저-전신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퍼즐에 도전해 보십시오. 호기심과 열린 눈, 암호, 좋은 전망만 있으면 됩니다. 메시지를 메모하고 싶다면, 레이저의 일부분을 보는 것만으로 충분합니다.” 가우스의 발자취를 ... ...
- [인터뷰] 위상수학, 느낌 아니까~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관련이 있나요?물론입니다. 먼저 캐나다 애니메이션 작가인 노먼 맥라렌이 했던 말을 소개할게요. 애니메이션은 움직이는 그림의 예술이 아니라,그려진 움직임의 예술이다. 애니메이션은 움직임에 관한 것이지, 그림에 관한 게 아니라는 거예요. 흔히 애니메이션은 예쁘고 귀여운 캐릭터 그림으로 ... ...
- [가상인터뷰] 최고의 달리기 선수 치타, 멸종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치타: 안녕! 나는 지상에서 가장 빠른 동물로 잘 알려진 치타야. 달리기 시작하면 2초 만에 시속 72km의 속도를 낼 수 있고, 최고 시속 132km로 달릴 수 있지.우리가 이렇게 빠른 건 등뼈가 앞뒤로 빨리 움직이기 때문이야. 뭐, 체온이 너무 올라가서 최고 속도로는 200~300m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