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불빛을 따라 도시로 왔다?! 하늘소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예쁜 달주홍하늘소까지, 내 친구들 정말 멋지지? 앗! 그런데 나머지 친구들은 다음에 소개해야겠어. 오늘 밤 친구들과 함께 북한산을 떠나 다른 곳으로 이동해야 하거든. 그곳이 어디냐고?궁금하면 나를 따라와 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불빛을 따라 도시로 왔다?! 하늘소의 ... ...
- [가상인터뷰] 참치 수영 실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속도로 다니면서 방향까지 자유자재로 바꾸는 걸까? 그 비밀을 함께 들어보자! 자기소개를 부탁해! 안녕하세요! 저는 바다에 사는 참다랑어예요. 흔히 ‘참치’라고도 불리지요. 저희 중에서도 몸집이 가장 큰 종인 ‘태평양참다랑어’의 몸길이는 최대 3m 정도이고, 몸무게는 450kg에 달해요. ... ...
- 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경연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푹 빠졌어요.”_홍콩과학기술대학교 2학년 윤홍서 학생Q. ‘벨루가’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 주세요.벨루가는 물 속에 만들어진 건축물을 유지, 보수할 수 있고 생물 시료를 채취하는 등 항구 도시에서 필요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수중로봇이에요. 팀 이름 ‘에폭시(Epoxsea)’에서 알 수 ...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덩실덩실 췄어. 그런데 이 새는 왜 북을 치는 걸까? 그 이유를 함께 들어 보자!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하세요. 저는 파퓨아뉴기니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지역에 사는 야자잎검은유황앵무새예요. 몸 길이는 60cm에 무게는 1.2kg 정도로, 앵무새 중에서 두 번째로 몸집이 크지요.크고 강력한 ... ...
- [가상인터뷰] 바다오리 알이 타원형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알이었지. 알이 이렇게 위험한 곳에 있다니! 이러다 떨어져 깨지는 건 아닐까?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하세요. 저는 바다오리예요. 해안가의 암초나 암벽 위에 알을 낳고 무리를 지어 살아요. 주변 바다에서 물고기와 작은 연체동물, 갑각류를 사냥해 먹지요. 특이하게도 계절에 따라 깃의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180° 돌아가고, 5만 분의 1초라는 엄청난 속도로 먹이를 낚아채는 사마귀는 대원들에게 꼭 소개하고 싶어요. 지난 3월에 채집한 사마귀가 알집에서 부화하는 모습도 직접 관찰했답니다.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해 보니 어떤 점이 좋나요?곤충 외에도 다양한 생물종에 관심을 갖게 됐어요. 얼마 전 ...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수는 없을 것 같은데…. 도대체 이 새는 왜 이렇게 작은 날개를 갖게 된 거지?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하세요. 저는 남아메리카 에콰도르에서 1000km정도 떨어진 갈라파고스 섬에 사는 ‘갈라파고스 가마우지’예요. 문어나 낙지, 각종 물고기를 먹지요.저는 가마우지과에 속하는 전세계 40종 중에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는 택시 기사들에게 정보가 전해지고, ‘야놀자’는 반경 3km 이내 숙소를 집중적으로 소개합니다. 여기에 비하면 반경 10m는 너무 좁은 게 아닌가 생각도 듭니다. 몇 걸음 옮기는 것만으로 정체가 탄로납니다. 어쨌든 이런 앱을 만드는 건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헬스케어 산업에서 생체신호를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개체는 이웃과 속도를 맞추고 의견을 나누면서 상호작용하려고 한다는 간단한 이론을 소개했어요. 이 이론을 토대로 하면 새들이 군집을 이뤄 날아가는 현상, 물고기가 떼를 지어 헤엄치는 현상도 설명할 수 있지요. 이렇게 간단한 가정만으로 흥미로운 현상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많이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1975년 7월호 ‘수학 칼럼’이라는 연재 코너에 소개하면서 널리 알려졌습니다. 놀랍게도 그토록 진전이 없던 연구가 가드너의 기사 뒤 아마추어 연구자에 의해 가속이 붙었습니다. 문제의 답 중 1가지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살던 전산학자인 리처드 제임스 ... ...
이전1821831841851861871881891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