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보여준다. 남편이 상대성이론의 기본개념을 창안하고 집필에 전력을 다한 반면 자신은
잘못
을 바로잡고 교정을 보는 것과 같은 미미한 일 밖에는 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다.결정적인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밀레바의 상대성이론 공동저작권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는 이유는 그녀가 한때 뛰어난 ... ...
알레르기, 현대인의 불치병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수많은 외부환경(세균 바이러스 독소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킬 수 있다.그러나 때때로
잘못
된 면역반응의 한 형태인 과민반응으로 우리 몸에 해를 주는 현상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알레르기'라고 한다.우리 몸을 지키는 면역반응에는 세포면역과 체액면역(항체면역)이 있다. 세포면역은 ... ...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사마천은 '사기'(史記) 1백30권을 저술하여 정사의 시조가 되었다. 그의 글은 완벽했고 "
잘못
된 글자 하나라도 발견한 사람에게는 천금을 주겠다"고 장담할 정도였다.로고스(Logos, 理性)의 나라 희랍의 '원론'은 역사의 나라 중국의 '사기'의 권위에 필적했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속에서 '원론'의 ... ...
2 '에듀테인먼트' 개발, 놀며 배운다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영어로 읽어준 뒤 화면 아래 다섯개 알파벳중 하나를 마우스로 누르면 된다. 만약 글자를
잘못
선택하면 인형은 'WRONG ONE'이라고 말하며 다시 선택할 기회를 주고, 맞추면 'RIGHT'라며 한 걸음 앞으로 걸어간다.다섯개의 그림을 맞추면 인형은 왼쪽에 쌓여있는 사탕을 먹거나 여자 친구에게 뽀뽀를 ... ...
성경 속의 식물이름,
잘못
번역된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알고 있는 것도 있지만 어떤 것은 사전을 찾아봐도 고개가 갸우뚱거려지는 게 있다. 또
잘못
번역된 것도 있다. 필자가 직접 이스라엘 현지에서 고증하고 촬영한 성서 속의 대표적 식물들을 소개한다.구약성서와 신약성서에 들어 있는 식물 종은 대략 1백10-1백25종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난 1 ... ...
2. 거대체구, 냉혈로는 체온유지 불가능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공룡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그 연구가 진척될수록 과거 공룡에 대해 지녔던 우리 생각에
잘못
된 부분이 있는 건 아니었는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6천 5백만년 전이라는 오랜 옛날에 지구상에서 사라진 동물군에 관한 문제는 흥미는 있지만 쉽게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 1억년 이상 ... ...
도전 125년만에 풀린 '평면지도와 4색'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歸謬法)이 있다. 처음 그릇된 가정에서 출발해 모순을 유도함으로써 처음의 과정이
잘못
돼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 방법을 4색문제에 적용하기 위해 처음 5가지의 색이 필요하다고 가정해 논리를 진행한다. 이러한 모순을 야기하는 지도 가운데 최소의 개수를 갖는 모순된 지도에 대해서 조사해 ... ...
"자연과 인간 함께 사는 방법을 배웠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확인된 적이 있습니다. 이는 미국에서 태평양을 횡단해 한국에 온게 아니고 번식지에서
잘못
이동해온 것입니다.신예준-산업화에 따라 자연이 자꾸 파괴되면서 예전에는 많았던 새들도 점점 희귀종으로 돼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어떤 새들이 희귀종입니까? 그리고 질병으로 죽어가는 ... ...
2. 온난화현상 일시적-곳곳서 빙하기 조짐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만들어져서 성층권에 오래 체류하는 구름은 재나 먼지로 구성돼 있을 것이라고
잘못
생각했다. 1970년대에야 비로소 성층권 구름은 ${H}_{2}$S${O}_{4}$의 작은 입자로 구성돼 있음이 밝혀져 화산과 기후변화를 연결할 때 황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게 됐다.화산계에서 황의 역할은 매우 복잡하다. 황은 온도, ... ...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팔 사이의 간격이 크게 벌어져 있다.은하의 나선팔을 단순히 별의 밀집영역으로 보면
잘못
이다. 이는 특별한 곳. 여기에는 젊은 별과 성간 물질이 풍부하게 존재한다. 한편 벌지는 주로 노후한 별들에게 점령돼 있고 성간가스나 먼지는 희박하다. 은하의 팔이 밝게 빛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