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지도 완성 인간마음 읽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심장에서 덥혀진 혈액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밖에 갖고 있지 않았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잘못
된 견해는 뇌를 해부한 학자들에 의하여 여러차례 치명타를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철학자들의 지지에 힘입어 17세기까지 영향력을 잃지 않았다.1862년 미국의 골동품 수집가가 고물상에서 파피루스 ... ...
퍼지이론, 인간두뇌 같은 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그런 일은 컴퓨터가 하도록 한다. 종전의 컴퓨터는 일부가 고장나거나 입력에 다소
잘못
이 있어도 엉뚱한 답을 내는데, 퍼지 컴퓨터는 그것을 보안하도록 돼 있다.퍼지 정보처리에서는 자연 언어가 기본이다. 단순한 수치적인 것보다 효율이 훨씬 좋다. 애매한 키워드를 사용해도 바라는 정보를 ... ...
식중독, 90% 이상 세균성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식중독은 음식을
잘못
먹어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식품이 부패하기 쉽고 몸의 저항력이 떨어지는 여름철은 식중독 경계경보 기간이라 할 수 있다.여름철, 배탈 ... 의한 식중독을 말한다. 복어 모시조개 섭조개 버섯 감자 콩류 목화씨 피마자씨 등을
잘못
먹으면 식중독을 일으킨다 ... ...
밤하늘의 길잡이 쌍안경 선택법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눈이 아프거나 쉽게 피로해진다. 심한 경우는 두통까지 생기게 된다.이유는 간단하다.
잘못
된 쌍안경으로 하나로 합쳐 보이게 하려면 눈의 근육이 계속 긴장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쌍안경은 충격을 받으면 시준이 어긋나게 되므로 사용할 때는 떨어뜨리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해야한다.● ... ...
생물- 인류의 조상, 과연 원숭이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간혹 DNA 복사 과정이
잘못
되는 경우가 있다. 복사 과정이
잘못
되면 그것이 만드는 단백질은 전연 다른 것이 될 수 있다. 지구상의 최초의 생명체에서 이것이 일어났을 때 진화가 시작된 것이다. 왜냐하면 복사과정에서의 이러한 착오야말로 변종의 근원이 되며 ... ...
화학 - 물질구성 입자단위 1몰 6×${10}^{23}$의 의미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이와같이 어마어마한 숫자가 된다. 미시적인 세계를 취급하는 화학이 협소하다는 생각은
잘못
이다. 화학은 이와 같이 엄청난 양을 취급하고 있는 것이다.주문에 맞춰 원료확보하기질산 암모늄은 대표적인 질소 비료다. 비교공장의 고객이 8천t의 비료를 주문하였다고 하자. 주문된 양의 비료를 ... ...
생물 - 빛·공기·물의 오묘한 조화, 광합성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헬몬트는 버드나무의 무게가 증가된 요인으로 공기의 성분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잘못
된 결론을 내리게 된 것이다. ● 프리스틀리의 실험(1772년) : 프리스틀리는 식물의 광합성할 때 발생하는 기체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실험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프리스틀리는 이 실험을 통하여 식물은 나쁜 ... ...
물리 - 극지방, 왜 적도보다 몸무게 더 나가나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결과가 서로 모순이 되는 것은 물체가 무거울수록 빨리 떨어진다는 전제 자체가
잘못
됐다는 것이다.따로 떨어지면 10과 5라는 속력을 내는데 이를 묶어서 하나로 만들었다고 해서 속력이 15가 된다면 명백하게 운동에너지가 공짜로 늘어나게 되므로 에너지보존법칙에 위배된다.닭털이 펄럭이며 ... ...
삐삐 완벽 활용법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이동지역에서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방식이다. 이 서비스는 다른 사람에 의해
잘못
이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비밀번호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등록해야 한다.가입자가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전화번호 표시와 함께 가입자를 호출할 수도 있다. 이를 예약호출서비스라 하는데, 지정한 시간에 ... ...
미남·미녀기준 서구형으로 대변신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평균에 가까웠다(사진 5).그러나 이런 한국인 얼굴에 대한 관념이 전혀 근거없이
잘못
된 것이라기 보다 한국인 얼굴이 다른 주변 민족들에 비해 턱이 크고 눈이 작다는 사실을 증폭 해석한 때문으로 생각된다. 즉 턱이 크고 눈이 작다는 점에서는 사실대로 보고 있으나 그 정도를 증폭해 기억하고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