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2) 가상 연주장·청중 입력 실제와 꼭같은 음향테스트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쉽지가 않을뿐 아니라 3차원의 모델을 실제 크기로 만들어보지 않고는 디자인의
잘못
된 점을 알 수가 없었다. 가상 현실 기술은 이러한 점들을 개선시켜 줄 것이다. 건축도면을 입력해 설계단계에서 컴퓨터 속에 미리 건축물을 만들어보고 그 안을 둘러본다면 도면상에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을 미리 ... ...
디지털 고속도로 종합정보통신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긴급하게 엄마에게 부탁할 일이 있는데 한시간째 전화는 통하지 않고 '혹시 수화기를
잘못
내려놨나, 집에 강도가 들었나' 안절부절이다. 집에 돌아와 원인을 알아보니 컴퓨터 통신 때문. 중학교에 다니는 아들이 '채팅'(컴퓨터통신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을 하는 바람에 몇 시간 동안 외부에서 ... ...
인공항문 장착하고 수영도 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상태라면 개복수술을 해 암세포가 퍼진 대장 일부를 잘라내야 한다. 운나쁘게 병소가
잘못
걸리면 항문까지도 함께 잘라내야 하는 경우도 있다.이때 절제한 대장의 끝부분을 복벽(대개 왼쪽 하복부)에 뚫은 구멍에 고정시켜 소화물을 몸 밖으로 배설하기 위한 출구로 삼는다. 시쳇말로 '인공항문 ... ...
화학 - 분자의 질량이 크면 끓는점이 높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분자량이 모두 58로 같으므로 분자의 질량이 끓는점을 결정한다고 생각한 가설은
잘못
되었다. 그러면 분자량이 같은 부탄의 두 이성질체의 끓는점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두 이성질체의 구조 차이가 분자간의 인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긴 사슬모양의 n-부탄이 둥근 형태의 iso ... ...
인간복제 논란 그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단계에 와 있는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또 예민한 반응 중에는 유전공학에 대한
잘못
된 인식에서 기인한 오해도 있는 듯하다. '인간복제'와 '배자복제'를 혼동하는 것이다. 이런 오해에는 선정적으로 보도한 언론의 탓도 컸다. 특히 '뉴스위크' 최근호는 '뉴욕타임스'의 기사가 과장됐다는 지적과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대한 약간의 지식을 지혜롭게 응용할 수 있으면, 그리고 촬영결과에 대해 반성하고 그
잘못
을 수정할 수 있으면, 현재의 장비로도 얼마든지 시도할 수 있는 아주 흥미로운 작업이다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그 실현가능성 여부를 떠나 많은 이를 흥분시켰다. 그러나 이같은 가설은 유전자에 대한
잘못
된 인식을 갖게 하는 대표적 사례라고 학자들은 우려한다.유전자조작을 통해 생물의 성질을 바꾸는 차원의 시도는 이미 많은 성과를 거두었고 산업 등에 활용되기도 한다. 먼저 식물의 경우부터 살펴보자 ... ...
'93 노벨상 수상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된 단백질을 합성할 수없게 된다. 가령 유전성 지중해 빈혈 가운데 어떤 것은 스플라이싱
잘못
으로 일어난다는 것이 밝혀졌다.노벨의학·생리학상 수여기관인 스웨덴의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두 사람의 분리유전자 연구가 진화과정에서의 고등 세포조직내 유전자 발전과정에 대한 종전의 학설을 ... ...
'페르마의 정리' 350년 만에 해법찾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降下)법)"고 가정하고 그 증명을 몇번 되풀이하면서 모순을 찾아내 결국 처음의 가정이
잘못
됐다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그런 자연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n=3의 경우는 더 어려운데, 그 정식증명을 오일러(Euler)가 1770년에 성공적으로 해결했다. 또한 n=3의 경우는 수학의 왕자 가우스도 ... ...
형태 색깔 등 분야별로 전문처리 네트워크 구성해 바깥세계 이해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연상하는 과정이라는 현재의 생각과는 크게 다른 것이다.1970년대 중반까지 계속된 이
잘못
된 생각은 '본다'와 '이해한다'를 구별하여 전자를 수동적인 과정, 후자를 능동적인 과정으로 한 칸트의 2차론과 유사하다.이들은 그 증거로 망막이 뇌의 특정영역과 강하게 결합돼 있는 점을 강조했다. 이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