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보] 여름 방학, 도형을 정복하라!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친숙한 영역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도형의 길이와 넓이를 구하는 측정 방법을 배웁니다. 이어 학년이 올라가면서 원의 둘레와 넓이를 구하기 위해 원주율을 배우죠. 그리고 나면 기본적인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의 길이와 넓이, 부피를 구할 수 있게 됩니다.다만 중학교 과정과 ...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장치는 매일 대기압, 습도, 자외선지수, 풍속, 방향, 지온, 기온 등 내 주위 모든 환경을 측정해 주는 고마운 녀석이다. 그런데 지금 왜 갑자기 요동을 치는 걸까. 순간 멀리서 붉은색 점이 보였다. 그 점은 점점 더 가까워지면서 커졌다. 화성 모래폭풍이다. 시속 160km로 달려오는 모래바람이다. REMS가 ... ...
- 초대륙 아마시아가 온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오늘날 우리는 수십억 년 전 땅덩이의 움직임은 물론 GPS와 VLBI 를 이용해 현재 움직임도 측정할 수 있다.1997년 미국 칼텍의 커쉬 빙크 교수팀은 논문을 통해 고생대 캄브리아기 초기 주요 대륙들의 고지자기극들이 불과 1500만 년 사이에 90°나 바뀌었다고 보고했다. 이 정도 속도라면 대륙이 이동한 ... ...
- 고흐 그림처럼 흐르는 세계 해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8호
- NASA는 2005년 6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지구 해류의 움직임을 분석해 ‘해양의 순환과 기후 측정2(ECCO2)’라는 컴퓨터 모델로 동영상을 만들었어요. 신기하게도 우리나라 주변 바다는 다른 지역에 비해 잔잔히 흐르고 있네요.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에서 동영상을 감상하세요 ... ...
- 수에 대한 감각, 서른 살 때 최고!수학동아 l2012년 08호
- 85살까지의 1만 명이 참가했다. 한 사람당 300회씩 테스트를 했으며, 정확도와 속도를 측정했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참가자들의 학창 시설 수학 성적과 비교했다.그 결과 성적이 좋았던 사람들은 대체로 이 테스트를 빠르고 정확하게 통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실력과 수에 대한 감각 사이에 ... ...
- 메신저 호가 밝힌 수성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마리아 주발 교수팀은 수성 표면에 레이저를 쏜 뒤 반사돼 오는 시간을 측정해 수성 표면이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걸 알아냈죠. 수성의 칼로리스 분지는 보통 운석 자국과 달리 중앙이 높이 솟아 있어요. 연구진은 운석 자국이 생긴 뒤에 지하에서 마그마가 나와 불룩하게 솟은 것으로 분석했어요. ... ...
- 건강 알려주는 뱃살 지수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악영향을 끼치고 때이른 죽음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보통 비만은 BMI로 측정하는데, BMI로는 체형을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단순히 키와 몸무게 만으로 계산하기 때문이다.그런데 BMI뿐만 아니라 체형, 특히 복부 둘레도 건강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건강을 분석할 때는 허리 ... ...
- 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자기장을 알 수 있는 자기력계가 탑재돼있어. 기본적으로 풍속과 온도, 대기성분을 측정할 수 있고 말이야. 이렇게 얻은 정보는 위성을 통해 지구로 보내는 거지.정신없이 굴러오다 보니 모르는 곳까지 왔네…. 흠…, 여기가 어디지? 화성의 극지잖아. 얼음을 분석해서 미생물을 발견한다면? 화성에서 ... ...
- 여성의 IQ는 남성보다 높아질까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성과나 업적을 예측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IQ는 시간에 따라 변하기도 하고, IQ가 측정하는 지능은 전체 지능의 일부에 불과하다. 그 일부 지능을 가지고 사람 전체를 판단하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요즘 뇌과학자들은 뇌의 일반적인 지능보다는 어떤 특정한 일을 처리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데 ... ...
- 슈퍼컴퓨터로 치매 조기진단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함께 살아 있는 사람의 뇌를 MRI(자기공명영상)으로 촬영해 대뇌 피질의 두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수학 알고리듬을 개발했다. 이 연구로 신경세포의 대부분이 분포된 대뇌 피질의 어떤 부분이 위축됐는지 수치와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됐다.피슬 박사가 개발한 방법이 가장 먼저 적용된 분야는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