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에서 가장 ‘핫(hot)’한 곳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지구에서 가장 뜨거운 지역은 어디일까. 중국의 고비사막이나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어디일 것 같지만 아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는 지난 4월 5일, 이란 ... 연구원은 “태양이나 대기 복사에 의해 땅이 달궈진 정도를 반영하고 있어 지상에서
측정
한 기온과는 다르다”고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 있는 냉수괴의 접근을 예측해 피해를 예방할 수도 있다. 또 바다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
하는 기술을 이용해 기후변화를 좀 더 정확히 예측할 수도 있다. 해수의 온도변화가 바다와 맞닿는 공기에 고스란히 전달되기 때문이다.앞으로 수중 통신도 LTE처럼 빨라질 수 있을까. 김 교수는 현재 수중 ... ...
‘별의 단발마’ 항성풍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밝혔다.노리스 교수는 초거대망원경에 수직과 수평으로 편광을 조절할 수 있는 간섭
측정
기를 설치했다. 그 뒤 180광년 떨어진 황새치자리 R별, 370광년 떨어진 사자자리 R별(사진), 375광년 떨어진 바다뱀자리 W별의 대기를 관찰해 편광을 분석했다. 비교를 위해 강한 항성풍이 없는 센타우루스 2별도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심은 지 15년, 20년, 40년 된 맹그로브의 크기와 무게를 재고 함유하고 있는 탄소의 양을
측정
했다. 연구결과는 놀라웠다. 1ha의 맹그로브 숲이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연간 35t이나 흡수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자라고 있는 소나무가 연간 흡수, 저장할 수 있는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때 비로소 우리는 물체에서 나오는 ‘빛’을 볼 수 있다. 나오는 빛의 색이나 파장을
측정
해 물체의 온도를 알아 낼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해 몇 광년이나 떨어진 별의 표면 온도를 알 수 있다. [허블 망원경으로 찍은 메시어9(M9) 구상성단의 사진. 성단을 이루는 별의 색이 다양한 것으로 보아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훨씬(1010100배) 높다는 주장)이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또 핵심인 인플라톤장은
측정
을 통해 증명되지 않은 가설적인 장이다.영원한 인플레이션이 만든 다중우주의 흔적을 검출하려는 시도도 있다. 매튜 클레번 미국 뉴욕대 물리학과 교수는 2011년 한 논문에서 “팽창하는 거품 다중우주가 서로 ... ...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유치 경쟁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사용하는 전파다. 휴대전화나 라디오에서 나오는 전파는 먼 우주로부터 오는 전파를
측정
하는데 커다란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야간 조명이 밝은 도시에서 별을 관찰하기가 힘든 것과 같은 이치다. 이 때문에 호주와 남아공은 자국의 후보지역이 상대국보다 전파청정지역이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 ...
나쁜 공기가 기억력 떨어뜨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질문을 했답니다. 연구진은 할머니들의 대답으로 인지능력과 정신건강, 반응속도를
측정
했어요. 이 조사는 2년 마다 한 번씩 해서 모두 세 번을 했죠.그 결과 먼지 농도가 높은 지역에 사는 할머니들은 공기 좋은 곳의 두 살 많은 할머니와 같은 인지능력을 보였어요. 공기가 나쁜곳에 사는 ... ...
시간이 정말 빨리 가는 때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009년 지구의 자전속도가 빨라져 하루가 짧아졌다고 발표했어요. 연구진은 하루의 시간을
측정
해놓은 자료를 분석했어요. 연구진이 분석한 결과 2009년 11월 8일부터 20일까지 2주 동안 하루의 시간이 1만 분의 1초씩 빨라진 사실을 발견했답니다. 21일부터는 하루의 길이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왔고요. 1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3C’ 또한 배치 단계에 있다.순항미사일은 정확도가 매우 높다. 비행 중 계속 지형을
측정
하며 인공위성으로 미리 관측한 지형과 대조해 실시간으로 궤도를 수정하며 날아가기 때문이다. 제트엔진으로 날아가는 무인비행기에 가깝다. 반면 탄도미사일은 발사 시에만 로켓의 힘으로 날아간다. 발사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