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
본인
자아
확신
자체
나
당사자
스페셜
"
자신
"(으)로 총 2,03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부여받은 임무는 항해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선원들의 건강이 담보되지 않으면
자신
에게 부여된 중요한 업무를 수행할 수 없었다. 쿡은 선원들의 균형 잡힌 식단을 위해 신선한 과일과 야채를 선원들에게 공급했다. 만약 항해 중 신선한 과일과 야채가 떨어지면 절인 양배추를 보급했다. ... ...
게임 좋아하던 학생에서 게임 만드는 박사로
KAIST
l
2014.05.14
자기
자신
이 왜 그 게임을 좋아하고, 얻는 이득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을 해야 한다.
자신
의 생활에 도움이 된다면 계속 하고, 오히려 생활이 게임에 끌려간다면 당장 중단해야 한다. 잘 생각해보기를 바란다. *본 콘텐츠는 한국과학기술원에서 발행한 KAIST 비전 2014 봄호에서 발췌한 ... ...
IBS 미녀들의 수다
IBS
l
2014.05.14
특위의 친화력 덕인지 누가 봐도 반 년 이상 함께 근무해온 동료들 같았다. IBS와 함께
자신
들의 꿈을 함께 성장시키겠다고 다짐하는 이들을 보면서 봄날 햇볕만큼이나 화사함을 느낄 수 있었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 5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
IBS
l
2014.05.14
지기 싫어하고 권모술수를 좋아하는 뉴턴의 성격상 경쟁심도 있었을 것이다. 뉴턴이
자신
의 저서에 굳이 '수학적 원리'라는 말을 붙인 이유도 데카르트의 '철학 원리'에 대항하려는 의미도 있었다. 뉴턴은 인력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행성의 움직임을 깔끔하게 해석해내는 한편으로, 소용돌이 ... ...
'우주의 미스터리' 암흑물질 액시온을 찾아서
IBS
l
2014.05.14
외국인 연구단장인 야니스 세메르치디스(Yannis K. Semertzidis) 박사가 이렇게 자문자답하며
자신
의 연구가 '우주의 미스터리'인 암흑물질, 그리고 물질과 반물질 사이의 비대칭과 관련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물리학회 석학회원이자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의 종신연구원으로 재직해온 그는 정밀 ... ...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열에너지로 발산되므로 그동안 낭비의 대명사로 알려졌다. 에디슨의 기업가 정신은
자신
의 회사뿐 아니라 미국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에디슨의 과학적 방식은 기술과 기계분야뿐 아니라 산업 전반에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자동차 왕 헨리 포드의 에디슨에 대한 다음과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작은 새에게는 심각한 피해를 준다. 진짜 새끼를 한 마리도 키우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신
보다도 훨씬 큰 뻐꾸기 새끼를 먹이고 있는 개개비. - 위키피디아 제공 연구자들은 다음으로 둥지에 모형 뻐꾸기의 알을 갖다 놓았을 때 이를 알아보고 내다 버리는 비율을 조사했다. 평소 탁란 피해를 보고 ... ...
희망멘토, 여성과학기술인 [제7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4.28
대표이사가 되었다. 조정숙 이사는 남성위주의 전자공학 및 통신 분야에서
자신
의 연구 분야를 개척하고, 후배 양성에도 기여해 수많은 공학도에게 꿈과 희망을 선물해주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행정개혁 및 사회봉사에도 활발히 앞장선 우리 시대에 몇 안 되는 훌륭한 여성 공학인이다. ... ...
재난현장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과 그 이유
KISTI
l
2014.04.25
때,
자신
의 왼편에서 비상구 유도등을 봤다 하더라도 다수의 사람이 오른편으로 간다면
자신
도 오른쪽을 향해 달린다. 재난 상황같이 긴급하고 옳고 그름의 상황 판단이 어려운 경우에는 많은 사람들이 동조 현상을 보인다. 대구 지하철 사고 때 많은 사람들이 전동차에 연기가 자욱해지는 상황을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다른 사람들도 쓸 수 있는 것이지만 색채론만큼은 독창적인 불멸의 업적”이라고
자신
했지만 호응을 얻지는 못했다. 물론 오늘날 관점으로도 괴테의 이론은 전혀 과학적이지 못하다. ‘식물 형태론’ 속편을 위해 괴테가 의뢰한 엽화된 장미꽃 수채화. 괴테는 ‘식물 형태론’에서 이 형태를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