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꼬리에 장착하는 장치를 만들어 꼬리의 움직임으로 소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장치를, 미국 렐리는 소젖에서 우유를 짜는 유축기에 센서를 부착해 유방염에 걸렸는지 확인하는 장치를 개발했다. 젖을 짜기 전에 질병에 걸렸는지 예측하고 미리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국내 기업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우주망원경 냉각제 고갈 위기도 넘겼지만, 결국 은퇴 선언 지난해 1월 30일에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적외선 우주망원경인 스피처 우주망원경의 은퇴식이 열렸다. 2003년 발사돼 16년간 활동한 노장 우주망원경이 임무를 마치는 순간이었다. 설계부터 조립, 발사, 운영 등 스피처와 함께했던 ... ...
- 태양계 비밀 품은 50억km의 비행, 하야부사2의 귀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2023년 9월 지구에 도착할 예정이다.오시리스-렉스 프로젝트의 연구책임자인 단테 로레타 미국 애리조나대 행성과학과교수는 “베누와 류구의 시료를 지구로 가져오면 두 행성의 관계에 대한 여러 사실을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NASA와 JAXA는 베누와 류구의 시료를 서로 교환해 연구할 ... ...
- 작은 ‘탈 것’을 위한 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3.5cm, 전체 무게는 0.26g인 이 장치는 벌의 비행방식을 모방해 만들었다. 노아 제퍼리스 미국 하버드대 공학 및 응용과학과 연구원은 “로보비는 외부 전원장치 없이 자체적으로 탑재된 배터리를 이용해 비행한 물체 중에서 가장 가볍다”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86-019-1322-0초소형 비행체는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사람의 움직임 또는 생명활동 등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모아 사용하는 기술이다. 1954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처음 제안된 개념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태양전지, 풍력발전소 등 친환경 발전도 에너지 하베스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제로 연구 초기에는 태양열처럼 자연의 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더 ... ...
- [특집] 기네스 북에서 찾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올랐죠. 전체 이름이 궁금하다면 놀이북 6쪽에서 확인하세요. #가장 큰 키 2m 72㎝ 1918년 미국에서 태어난 로버트 웨드로우는 세상에서 가장 큰 키로 이름을 올렸어요. 무려 2m 72㎝! 신발 사이즈는 470㎜, 손 길이는 32.4㎝였죠. 1940년에 숨을 거둔 그는 길이 3m 28㎝ 크기로 제작된 관에 잠들었다고 해요 ... ...
- [수학뉴스] 실시간 교통 상황을 더 정확하게 알려주는 알고리듬 개발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위한 의사결정을 빠르게 내릴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2020년 8월 24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SIGKDD 국제도시컴퓨팅워크숍’에서 발표했고, 12월 2일 북서태평양국립연구소 홈페이지에 소개했습니다.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분야의 지식으로 조합론의 난제를 푼 경우도 있었죠. 필즈상 후보자로 거론되는 허준이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교수님은 대수기하학 도구로 조합론 문제를 풀었답니다. 여러분이 수학자가 되고 싶다면 다양한 분야에 열린 마음으로 관심을 가지면 좋겠어요. 지금 관심이 가는 분야를 즐겁게 ... ...
- 단백질 퍼즐 맞추기, AI가 대신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아미노산의 종류와 순서(서열)에 따라 복잡한 3차원 구조가 만들어지죠. 1994년 미국 메릴랜드대학교의 존 몰트 교수는 아미노산 서열만으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단백질 구조 예측 학술대회(CASP)’를 열었어요. 구조 예측을 좀 더 잘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였죠. 이 대회에는 ... ...
- [과학뉴스] 코로나19, 박쥐는 옮기고 닭은 안 옮기는 이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국제공동연구팀이 이런 차이의 원인을 세포 표면 단백질에서 찾았다. 주앙 로드리게스 미국 스탠퍼드대 구조생물학과 연구원과 수산나 빌라마우 스페인 카탈로니아 고등화학원 연구원팀은 코로나19 종간 감염력이 강한 동물은 세포 표면 단백질과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의 결합력이 강하다는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