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예전처럼 활을 잘 쏘고 싶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회전축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힘이 생겨요. 그래서 화살이 흔들리지 않고 날아갈
수
있는 거예요. 마치 빠르게 회전하는 팽이가 흔들리지 않고 잘 도는 것처럼요. 통합과학 넓히기강철보다 강하면서 탄성력이 좋은 활과 화살이 있다?우리나라의 전통 활과 화살은 대나무나 동물의 뿔 등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과학마녀 일리가 숟가락을 휘어버렸어. 금속을 어떻게 물렁하게 만들지? 갈륨의 비밀을 알아보자. 특집•통합과학 교과서 中… 액체 금속의 한 종류 ... 움직이는 탁구공과 볼링공을 멈출 때도 볼링공을 막을 때 더 힘이 많이 들고요. 질량이 클
수
록 운동 상태를 바꾸는 것이 어려운 거죠 ... ...
[People] 만 10년 만에 이해한 그린-타오 정리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그린-타오 정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연구하는 건 시간이 한참 지나서야 가능했습니다. 대학생 때는
수
학의 여러 분야를 두루 공부해야 했고, 대학원 때는 ... 세미나에서 방법론을 다 공부하자 세키 교
수
는 논문에 언급된 문제 중 ‘타오 교
수
의 별자리 정리’를 일반화하자고 제안했습니다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발자취를 따라서…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정원에 가만히 앉아 런던의 드넓은 고원이 석양빛으로 물들어 가는 풍경을 지켜보며
수
학 생각에 푹 빠져 있었어요. 말년에 러셀은 어린 시절뿐만 아니라 일평생 넓은 전경과 석양 없이는 좀처럼 행복하게 지내지 못했다고 회고했습니다. 전경과 석양. 전 세계에 이름을 떨친 위대한 학자가 행복을 ... ...
[Data math] 케첩 짤 때 팍 튀지 않게 하는 방법은?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다시 부풀릴 때, 화산이 폭발할 때, 연료 전지가 작동할 때와 같이 여러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어요. 케첩 통을 짜는 경우도 우리가 가장 처음 생각했던 일상적인 예 중 하나였지요. 그래서 종종 연구를 음식에 빗대어 설명해요. 사람들은 화산 활동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대부분 케첩을 짤 때 팍 ... ...
[Mathematician] 교
수
님을 누가 말려! 두 얼굴의
수
학자 서검교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데로 돌린 뒤 연구를 다시 하면 더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기도 해요. 밴드 활동을 할 땐
수
학자란 자아에 영향 받고 싶지 않아서 ‘서태웅’이라는 가명으로 활동하고 있어요 ... ...
[Mathematician] 직접 부딪쳐 답을 찾다!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두 가지를 꼽았다. 가
수
로서는 ‘50세가 되기 전에 자작곡으로 음반 내기’이고,
수
학자로서는 ‘현재 풀고 있는 문제 해결하기’다. “먼저 제 목소리와 제가 속한 밴드에 가장 잘 맞는 노래를 만들어 합주하고 싶어요. 그리고 왜 제 머리카락이 긴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공연을 위해서도 있지만 ... ...
[미궁 1004] 미지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없이 차례대로 적어라. 존재하지 않는다면, 답을 ‘0’이라고 적자. 하늘로 올라갈
수
록 몸이 가벼워지더니 위로 던진 주사위가 떨어지는 데 한참 걸린다. 어느덧 티티르의 몸도 붕 떠오르기 시작한다. 티티르는 당황해서 어쩔 줄 모르는데, 소녀는 움직임이 자연스럽다.“역시 하늘에서 내려온 ... ...
[에디터 노트 ]‘실친’을 만들
수
있는 곳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보는 느낌이랄까? 뷔페에 와 있는 느낌!” 권민경 독자위원이 올해 개편한 과학동아 1월호에 대해 평한 의견입니 ... 뒤바꿀 겁니다. 우리는 아직 갈 길이 멉니다. 과학동아는 지금보다 훨씬 더 재밌어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도와주신다면요. 함께해 주실 거죠 ... ...
[이달의 과학뉴스] 바이러스 먹고 사는 플랑크톤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개체
수
는 100분의 1로 줄었다. 존 드롱 네브래스카-링컨대 생물과학부 교
수
는 “바이러스에서 비롯된 먹이사슬 내 에너지 이동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봐야 한다”며 “대규모로 발생하는 것이라면 전 세계 탄소 순환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