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Rethinking] - 제1화 - 방정식엔 왜 x를 사용할까?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흔히
수
학이 중요하다는 말을 한다. 그렇지만
수
학이 인류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란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래서
수
학자와 인문학자가 함께 자주 ... 하는 과정에서 데카르트가 쓴 x, y, z를 사용하면서 우리가 지금까지 이 문자들을 미지
수
로 사용하게 됐다고 봅니다 ... ...
[Mathematician] 교
수
님을 누가 말려! 두 얼굴의
수
학자 서검교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데로 돌린 뒤 연구를 다시 하면 더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기도 해요. 밴드 활동을 할 땐
수
학자란 자아에 영향 받고 싶지 않아서 ‘서태웅’이라는 가명으로 활동하고 있어요 ... ...
[
수
학체험 유랑단] 영암의 테셀레이션 의상실을 찾다!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체험하면서 재밌게
수
학을 배우고 싶다고요? 그런데 어떤 걸 만들고 어떤 재료를 사용해야 할지 막막하다고요? 그래서 기자들이 전국에서
수
학 체험
수
업으로 유명한 ... 도형의 개
수
와 상관 없이 360°만 이루면 됩니다. 이를 활용해 나만의 티셔츠를 또 만들어 볼
수
있 ...
[이달의 과학뉴스] 바이러스 먹고 사는 플랑크톤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개체
수
는 100분의 1로 줄었다. 존 드롱 네브래스카-링컨대 생물과학부 교
수
는 “바이러스에서 비롯된 먹이사슬 내 에너지 이동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봐야 한다”며 “대규모로 발생하는 것이라면 전 세계 탄소 순환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문제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져야만 한다”고 짚었다. 이
수
영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
수
는 “AI의 능력이 발전하면 인간의 능력은 AI의 능력까지도 포함해 성장하는 것”이라며 “AI는 위험하다. 그렇지만 사람만큼만 위험하다. 사람에게서 배우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있다. 종교재판소에서는 피고가 진실을 말하지 않는다고 의심되면 1단계로 고문을 당할
수
있다고 말로 경고하고, 2단계에서는 고문실로 데려가 고문 도구를 보여주며 위협했다. ‘엄격한 조사’라는 표현을 봤을 때 갈릴레이에게는 2단계 정도의 위협까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도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전설의 전투용병 ‘정이’의 뇌를 복제하라!’1월 20일 넷플릭스에 공개된 ‘정이’는 뇌 복제라는 신선한 소재를 다룹니다. 영화 속 군
수
업체 ... “양심이 없는 과학은 영혼을 파괴할 뿐이다.” 르네상스 시대에 교육자로 이름을 날린 프랑
수
아 라블레의 말이 떠오르는 작품이었습니다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낸 날들이. 순간 나 자신의 삶에 더없이 깊은 애정을 느꼈다. 마침내 미래의 나를 그릴
수
있었다.너는 얼마나 멀까?10년 후의, 20년 후의, 어쩌면 그보다 먼 미래를 보았다. 그를 원했다. 미래의 나를 원했다. 내가 더 살아가기를, 나와 함께 나아가기를 바랐다.고통을 받아들이리라 마음먹었다. ... ...
[특집] 500m 초고층빌딩 170km 이어서 지을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생태 통로를 막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도시는 유기체기 때문에 변
수
가 많으며 현재 공개된 콘셉트 디자인대로 건축될 지는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어요 ... ...
[과학 뉴스] 블랙홀로 파괴된 별, 빛나는 제트로 탈바꿈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지난 11월 30일 유럽남방천문대와 호주 스윈번기술대학교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팀은 약 85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매우 밝게 빛나는 물질 제트를 발견해 분석한 ... “먼 우주에 있는 블랙홀을 찾고 분석하는데 이번 발견에서 얻어낸 결과를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