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연구하는 학문이다. 보통 매듭이라 하면 긴 줄을 꼬아 묶은 것을 말하지만, 수학에서는 줄의 양 끝을 이어붙인 것을 매듭이라 한다. 가장 간단한 매듭은 아래 그림에서 ➊에 해당하는 ‘원형매듭(풀린 매듭)’이다.➋~➍번 매듭은 서로 달라 보이지만 사실 원형매듭과 같다. 매듭을 끊지 않고 모양을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미로골낭 바로 뒤에 있는 구멍이 속귀와 통하는 영역이 더 넓었다. 그만큼 소리의 충돌이 줄고, 그 결과 이전 시대의 파충류보다 더 높은 주파수와 낮은 주파수의 음들을 정확히 구별할 수 있었을 것이다.균형감각에 중요한 반고리관도 이전 시대의 파충류보다 길었다. 에우파르케리아가 훨씬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나와야 해!’라고 호통치는 저희 엄마. 그렇게 찍은 사진을 SNS에 올리느라 시간 가는 줄 모르구요. ‘막내 딸 베리가 가장 예쁘다’고 말하는 엄마는 지금 완전 사랑에 빠져 있어요. ‘엄마가 사랑하는 만큼 베리는 엄마를 사랑하지 않을걸?’이라고 말하는 제게 의심의 여지없이 베리도 자신을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지속돼, 1세기 후반에는 기온이 현재보다 3℃ 상승할 것이기 때문이다. 온실가스를 줄이는 노력과 동시에 변화하는 기후에 대한 적응이 함께 이뤄져야 하는 이유다.대표적인 예가 기후변화의 최대 위협 요소인 이상 기후에 대비하는 것이다. 가령 우리나라의 태풍은 그동안 중심 강도가 강한 ... ...
- Part 1. 수학으로 본 작은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안간힘을 썼다.네 명이 힘을 합쳐서야 간신히 수지를 빼낼 수 있었다.“콜록! 콜록! 죽는 줄 알았네.”그때 도윤이의 머릿속에 갑자기 한 가지 궁금증이 떠올랐다.“큰일 날 뻔했네. 잠깐 근데 왜 물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거지? 수지는 수영을 잘 하잖아? 아니, 곤충처럼 몸이 작아졌으면 ...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下 예술이 된 광물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스페인 여느 지역과 달리 맑은 날보다 흐린 날이 많은 빌바오에서 밝고 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소재를 찾던 그는, 고심 끝에 과감히 티타늄을 선정했다. 어릴 때 고향에서 본 물고기의 비늘에서 영감을 얻었다.문제는 티타늄이 워낙 비싼 소재라는 점이다. 플랭크 게리는 몇 달 동안의 실험 끝에 0.3 ... ...
- [과학뉴스]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날 예정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미국 웨슬리언대 연구팀이 보이저 1, 2호가 날아갈 태양계 밖 우주 항로의 환경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내놨다. 세스 레드필드 천문학과 교수팀은 보이저 1, 2호의 항 ... 중”이라며 “관측 결과가 향후 태양계 밖 탐사 과정에서 직면할 문제들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 ...
- [Issue] 과학자들이 남성 출산율을 계산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남성 출산율 변화를 보는 추가 분석을 하면, 더 나은 출산 정책을 만드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산 논의, 여성과 남성 모두에 초점 맞춰야”이 연구는 출산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가 여성에 대해서만 이뤄진다는 현실에 경종을 울렸다. 아이를 낳겠다는 결정은 대부분 ... ...
- [Origin] 행복은 디테일에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무시한 채 성급한 판단을 내리곤 한다. 그 결과 어떤 일이 얼마나 우리를 행복하게 해 줄 것인지에 대한 예측이 빗나간다. 이스라엘의 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은 전체 그림보다 화려한 부분적 요소 하나에만 집중할 때 생기는 착각을 ‘초점 착각’이라고 불렀다.카너먼 박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 ...
- 밸런타인 데이의 로맨틱한 수학적 고백법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더 멋있어야 했다고 결론 내렸다. 수학적으로 더 멋진 말로 고백하면 아라가 마음을 받아줄 거라고 생각했다. 색다른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이과생 형들의 고백법을 검색해 봤다.가장 먼저 눈에 띈 건 서울대학교 익명게시판 대나무숲에 올라온 게시글이었다. 함수를 활용해 자신의 마음을 표현했다.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