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균등하지 않았다. 하지만 메이커 운동을 통하면 아이들에게 새로운 기회와 미래를 열어줄 수 있다.뉴욕의 빈곤 지역 중 한 곳인 사우스 브루클린 지역의 사례를 보자. 이 지역의 과학교사인 스테판 리츠는 학교 안에 수직식물공장을 지어 식물을 재배하는 ‘그린 브롱스 머신’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 1, 2라는 입력값을 다시 2진법으로 변환해 계산하는 방식을 탈피해 복잡도를 획기적으로 줄였다”고 말했다.하지만 덧셈기와 곱셈기는 설계의 기본에 불과하다. 강 교수는 “아직 3진법 소자를 개발하는 중이라 완벽한 논리 회로를 설계하기가 힘들다”며 “세계적으로 3진법 회로 설계를 연구하는 ... ...
- [Origin] 거절 못하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런 이상한 부탁에 과연 몇 명이나 응했을까.연구팀은 10명에 한 명꼴로 부탁을 들어줄 거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실험 결과 3명 중 한 명 꼴로 응했다. 학생들은 ‘이런 행동은 옳지 않다’거나 ‘나중에 잘못될까봐 두렵다’고 느끼면서도, 단지 부탁을 받았다는 이유로 책에 낙서를 했다(doi: 10.1177 ... ...
- [과학뉴스] 침 흘리는 불곰, 땡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그런데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대와 오리곤주립대 공동연구팀은 동물 연구에 도움을 줄 새로운 환경 유전자를 찾아냈어요. 바로 불곰의 ‘침’이지요.불곰은 주로 연어의 머리 부분만 즐겨 먹어요. 연구팀은 알래스카 지역에서 불곰이 먹고 버린 연어 몸뚱이 시체 156마리를 모아 유전자를 분석했어요 ... ...
- [특별 인터뷰] 깃털 달린 육식공룡에 빠지다! 쉬 싱 박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종의 공룡 이름을 지었답니다.쉬 싱 박사님은 고생물학자를 꿈꾸는 어린이들에게 협력할 줄 아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어요.“고생물학자는 생물학 지식을 많이 알아야 하고, 전세계 곳곳을 누빌 수 있는 튼튼한 체력도 필요해요.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협력이에요. 화석을 발굴하고 ...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알아낸 거야? 저는 바람을 이용해 날아다녀요. 바람이 뒤에서 불어올 때는 속도를 줄여 바람에 몸을 맡기고, 앞에서 불어오면 비행속도를 높여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지요.미국 테네시대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으로 구성된 국제연구팀은 텍사스 프리오동굴에 사는 브라질큰귀박쥐 등에 0. ... ...
- [특별 인터뷰] 조재호·김문식 작가의 웹툰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만화를 통해 세상을 만나는 친구들이 있어요. 그리고 그 친구들을 위해 조재호, 김문식 작가님이 발 벗고 나섰어요. 미래의 웹툰 작가를 만나는 수업 현장으로 함께 ... 싶어요. 그럼 많은 사람들이 장애인의 일상에 대해 이해하게 되고, 나아가 서로 배려할 줄 아는 사회가 되지 않을까요 ... ...
- [가상 인터뷰] 돌도끼를 만드는 원숭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비슷한 날카로운 면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답니다. 돌도끼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 줄 수 있겠니? 사실 연구팀은 카푸친원숭이가 석기를 만드는 모습은 직접 관찰했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지는못했어요. 앞으로 꾸준히 연구를 진행하다 보면 우리가 직접 만든 석기를 어떤 활동에 ... ...
- Part 3. 엑소마스 2020, 성공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우주국의 과학자들이 고안했지요. 역추진 엔진이 달린 우주선에서 나온 단단한 나일론 줄에 탐사선을 매달아 착륙시키는 원리예요. 무게가 1t 이상인 무거운 착륙선을 착륙시킬 때 효과적이랍니다.과연 화성에서 처음으로 생명체를 찾는 주인공은 누가 될까요? 또 찾는다면 생명체는 과연 어떤 ... ...
- [과학뉴스] 가짜 약인 걸 알고 먹어도 덜 아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결과, 진통제만 먹은 환자보다 진통제와 가짜 약을 함께 먹은 환자들의 통증이 더 많이 줄어들었다고 답했어요. 노바대 클라우디아 카르발로 교수는 “환자들은 가짜 약인걸 알고 먹었지만, 의사에 대한 신뢰감이 치료 효과를 더 크게 만들었다”라고 설명했어요.한편,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은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