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스페셜
"
유전
"(으)로 총 2,08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
자 하나만 꺼도 무더위 못 느낀다
2016.08.22
실험결과인데 이를 사람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 아마도 그럴 것이다. 즉 이들 온도센서
유전
자들은 사람에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만일 TRPM2의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이 나온다면 무더위의 불쾌함에서 해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그 부작용으로 일사병 환자들이 급증하겠지만. ※ 필자소개 ... ...
유전
자 변이 740만개 찾았다… 역대 최대 규모 연구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08.21
연구진은 이 질환들이 생길 때 신경세포를 보조하는 ‘신경교세포’에서 몇 가지
유전
자와 단백질이 덜 발현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마지막 논문은 뇌가 충격을 받아 기능이 일시적으로 멈춘 ‘외상성 뇌 손상(TMI)’ 상태일 때 면역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다뤘다. 지금까지는 TMI가 생기면 인체가 ... ...
화학계의 알파고, 케마티카(Chematica)를 탄생시키다
IBS
l
2016.08.03
가득했다. 사이푸 초대와 연구에 대한 열정에 대해 그쥐보프스키 그룹리더는 "나의
유전
자 속에는 '흥미'를 따라가는 녀석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평소에도 그는 연구원들에게 취미처럼 재미있게 흥미롭게 일하는 사람들과 함께 연구하라고 강조한다. 과학을 이해하고 공부하기는 어렵지만 ... ...
몸에 좋은 성격 이야기
2016.08.02
사람들이 불행한 사람들에 비해 건강하게 오래 산다는 이야기를 했다. 물론 성격은
유전
적으로 타고나는 부분이 적지 않기 때문에 이런 경향성을 180도 바꾼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예컨대 원체 생각이 많고 쉽게 걱정에 빠지는 성격을 어느 날 갑자기 바꾸는 것은 어렵다는 말이다. 하지만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
동아사이언스
l
2016.08.01
도박게임) 형태로 쌓아 올린 그림을 표지에 올릴 예정이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
체교정연구단장팀이 쓴 논문에 들어 있던 작은 원 그래프를 화려한 느낌이 나도록 바꾸어 그린 그림이다. 이영희 '큐브3D그래픽' 대표가 그린 국제학술지 표지그림. - 큐브3D그래픽 제공 이 그림은 국내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름다운 화음? 그건 ‘문화’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16.07.31
함께 공생하는 지의류를 처음 발견하고 추가로 전 세계 6개 대륙에서 지의류들을 수집해
유전
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효모와 균류, 조류가 공생하는 지의류 52종을 발견했다. 지의류의 구성원들은 각각 맡은 역할이 다르다. 균류는 ‘집’을 만들어 추위나 더위, 가뭄에 견딜 수 있는 보호막을 ... ...
새 ‘단백질 구조’ 설계… 신개념 약물전달물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단백질 구조체의 크기는 지름이 24~40㎚(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수준이다. 약물이나
유전
물질 등을 넣기 충분한 크기다. 킹 교수는 “우리가 이번에 만든 단백질 구조체는 컴퓨터로 설계해 만든 단백질 구조체 중 크기가 가장 크다”며 “사용 목적에 맞게 설계가 가능한 만큼, 목표 지점에 ... ...
형제자매는 라이벌인가?
2016.07.23
수는 없다. 더욱이
유전
학적으로 보면 형제자매야말로 세상에서 자신과 가장 유사한
유전
자로 신체를 이루고 있다. 그런 점에서는 부모보다도 더 가까운 신체적 동질 관계인 것이다. 그래서 이 땅의 슬픈 역사―분단 현실의 직접 당사자인 이산가족이 상봉할 때면 헤어졌던 형제자매가 부둥켜안고 ... ...
정신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연하다는 듯이 정신장애는
유전
의 산물 혹은 양육의 결과라며 간단하게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는 ‘정신병은 귀신에 씌어서 생기는 것’이라는 주장만큼이나 과학적 근거가 빈약하다. ‘사실 잘 모른다’라는 답이, 비록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가오리와 같은 근육 조직을 만들었다. 연구진은 머리 부분에 위치한 심장근육세포의
유전
자를 조작해 광 활성을 띠도록 만들었다. 여기에 청색광을 쪼이면 전기신호가 몸 전체로 퍼져나가면서 근육이 순차적으로 수축하고 이완하며 가오리 로봇이 헤엄을 치게 된다.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 없는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