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스페셜
"
유전
"(으)로 총 2,08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
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대해서도 여전히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지만 수면과 관련된 신경회로와 함께
유전
자도 하나 둘 밝혀진다면 머지않아 잠과 꿈의 미스터리가 풀릴 수도 있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비해 단일염기다형성(SNP), 즉 변이가 많이 일어나 있다. 그 결과 같은 수용체라도
유전
자가 A형은 인식하는 냄새분자를 B형은 인식하지 못할 수가 있다. 결국 똑 같은 냄새 환경에 있더라도 우리 모두는 각각 다른 식으로 냄새 정보를 입수하는 셈이다. 이런 감각 차원의 구조적인 문제에 더해 감각 ... ...
[표지로 읽는 과학]생체리듬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28
지속되면 대사성 질환 위험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조셉 바스 교수는 “생체시계는
유전
체 수준에서 개체 수준까지 모두 영향을 미친다”며 “앞으로 세포 하나하나의 생체시계를 밝히면 인체에서 어떤 생체 리듬이 생기는지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주 ... ...
美서 합법인 대마초, 뇌 보상시스템 망가뜨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20
유전
자를 추가로 주입해 식물이 에너지를 빨리 생산하게 한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유전
자조작 담배는 이산화탄소 흡수율이 11~14%, 광합성 효율이 14~20%까지 증가했다. 롱 교수는 “지금부터 식량부족을 대비해야 한다”며 “광합성 효율을 높일 방법을 게속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요즘 젊은이는 10대를 거치며 70~80%가 근시가 된다. 근시는
유전
적 요인도 있지만 (근시
유전
자도 발견됐다) 환경요인의 영향력이 훨씬 크다. 과거에는 잘못된 독서 자세 등이 원인이라고 생각됐지만 최근 연구결과 10대 때 빛을 충분히 쬐지 못할 경우 안구가 정상적인 모양을 잡지 못해 근시로 ... ...
표범의 추억
2016.11.08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고양잇과에 속하는 종들은 인간과나 소과에 속한 종들에 비해
유전
적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표범과 눈표범, 치타가 그런데 작은 무리가 고립돼 살아가며 동계교배가 자주 일어난 결과로 보인다. 앞으로 이들 종의 멸종을 막는데 서식지 보호와 함께 무리의 ... ...
사이언스가 선정한 최고의 명약은 ‘신뢰받는 의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1.06
유전
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나타나기 때문이다. 크미타 교수는 “진화의 과정에서 Hoxa11
유전
자 조절 기능을 잃은 사지동물이 우성을 점하며 5개 손가락을 가진 형태로 진화하게 됐을 것”이라며 “인류의 진화는 하루이틀 사이에 일어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화석 형태를 추가적으로 분석해 ... ...
미국 대통령이 알아야 할 6가지 과학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6.10.23
등 4만여 개의
유전
자 정보를 밝혀 공개했다. 또 분석 결과를 ‘서양 발톱 개구리’
유전
체 해독 결과와 비교해 보기도 했다. 그 결과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가 서양 발톱 개구리와 약 4800만 년 전에 종 분화가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에 대한 상세 기사 보기 ... ...
밥보다 더 많이 찾는 커피에 대한 오해와 진실
2016.10.21
커피나무'를 만들려는 시도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걸음마 단계다. 최근에 각광받는
유전
자 가위 기술이 발전하면 언젠가는 카페인 0%의 맛있는 디카페인 커피를 마실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못했다. 물론 C4 광합성 메커니즘은 자세히 규명됐기 때문에(이에 따르면 20개가 넘는
유전
자를 도입해야 한다) 최근 급속히 발달한 게놈편집기술을 적용할 경우 머지않아 C4 벼가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그 경우 수확량이 50%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될 뿐 아니라 가뭄에 저항력이 높아져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