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스페셜
"
유전
"(으)로 총 2,062건 검색되었습니다.
새 ‘단백질 구조’ 설계… 신개념 약물전달물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단백질 구조체의 크기는 지름이 24~40㎚(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수준이다. 약물이나
유전
물질 등을 넣기 충분한 크기다. 킹 교수는 “우리가 이번에 만든 단백질 구조체는 컴퓨터로 설계해 만든 단백질 구조체 중 크기가 가장 크다”며 “사용 목적에 맞게 설계가 가능한 만큼, 목표 지점에 ... ...
형제자매는 라이벌인가?
2016.07.23
수는 없다. 더욱이
유전
학적으로 보면 형제자매야말로 세상에서 자신과 가장 유사한
유전
자로 신체를 이루고 있다. 그런 점에서는 부모보다도 더 가까운 신체적 동질 관계인 것이다. 그래서 이 땅의 슬픈 역사―분단 현실의 직접 당사자인 이산가족이 상봉할 때면 헤어졌던 형제자매가 부둥켜안고 ... ...
정신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연하다는 듯이 정신장애는
유전
의 산물 혹은 양육의 결과라며 간단하게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는 ‘정신병은 귀신에 씌어서 생기는 것’이라는 주장만큼이나 과학적 근거가 빈약하다. ‘사실 잘 모른다’라는 답이, 비록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가오리와 같은 근육 조직을 만들었다. 연구진은 머리 부분에 위치한 심장근육세포의
유전
자를 조작해 광 활성을 띠도록 만들었다. 여기에 청색광을 쪼이면 전기신호가 몸 전체로 퍼져나가면서 근육이 순차적으로 수축하고 이완하며 가오리 로봇이 헤엄을 치게 된다.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 없는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바이올로지’ 6월 30일자(온라인)에는 모처럼 완두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실렸다. 다만
유전
학은 아니고 생리학 분야로 환경에 따른 식물의 적응력을 보여주는 실험이다. 그럼에도 멘델의 위상이 흔들리는 때라서 그런지 반가운 마음에 잠깐 소개한다. 동물의 경우 먹이가 풍족할 때는 안정적인 ... ...
다윈의 나방
유전
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자연선택을 상징했던 사례가 어떻게 이런 논쟁에 휘말렸는지 궁금해졌다. 그리고 이번
유전
자 규명이 케틀웰의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시큼한 분노의 포도? 케틀웰 실험에 대한 문제제기에 앞장 선 사람은 미국 매사추세츠대의 동물학자 테오도르 사전트 교수다. 사전트 교수는 196 ... ...
피해망상과 환각…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은?
2016.05.23
조현병 위험성이 높다. - 네이처 제공 ● 오메가3, 예방 및 치료 효과 상당 조현병에
유전
의 영향이 크다는 것은 동서고금(1908년 정신분열증(schizophrenia)라는 병명이 나온 뒤 각국의 조사결과를 봤을 때)을 막론하고 어느 수준의 비율로 환자가 존재한다는 사실로도 알 수 있다. 즉 후진국의 시골이나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있지 않지만 젖 생산에 세포핵이 두 개인 젖샘세포가 필수적임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즉
유전
적 결함으로 이런 세포를 만들지 못하는 생쥐는 젖을 제대로 분비하지 못한다. 그리고 핵이 세 개 또는 네 개인 세포는 존재하지 않아 이 과정이 정교한 통제아래 일어남을 시사한다. 지난 2010년 학술지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떨어졌을 것이라는 가정은 ‘홀데인 법칙’과도 부합하다”고 주장했다. 영국의 저명한
유전
학자 존 홀데인이 1922년 한 논문에서 제안한 이 법칙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이형염색체배우자란 성염색체가 다른 성, 즉 사람의 경우 XY인 남성을 뜻한다. “두 이종 동물 사이에서 태어난 새끼 가운데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
IBS
l
2016.04.04
동물의 행동까지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정 부연구단장은 광
유전
학 전문가인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의 허원도 그룹리더(KAIST 생명과학과 교수)와 공동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의 김은준 연구단장과도 공동연구를 진행중이다. 정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