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위
해 오늘도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김문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서 박사학
위
를 받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연구원으로 있다. 심해퇴적물의 기원지 및 고환경 연구와 더불어, 해저열수광상과 망간단괴 등 심해저자원 개발 시 발생하는 잔사물질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mgkim ... ...
수학으로 흔들어봐! 매스댄스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하고 있다. 2019년 2월에는 미국 국립과학재단이 주최하는 수학 영상 대회에 지원하기
위
해 두 번째 매스 댄스 영상을찍었다. 쉐리치는 “매스 댄스를 통해 수학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수학에 관심을 갖고 서로 소통했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전했다 ... ...
[알고리듬 시그널]가장 많이 쓰이는 클러스터링 알고리듬, κ-평균 클러스터링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수를 정하고 두 점 사이의 거리만 구할 수 있으면 돼요. 거리 구하는 법을 모른다면
위
의 ‘두 점 사이의 거리’ 소개에서 방법을 익히고 직접 k-평균 클러스터링에 도전하세요! 그림을 따라 이해하면 그다음에는 좌표평면에 마음대로 점을 찍고도 클러스터링할 수 있게 될 거예요. 참고자료 ... ...
[화보] 2월이 한여름이라고?! 남극의 여름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은 곳이지요. 남극 연구는 미래 지구환경을 예측하고 준비하기
위
한 가치 있는 도전이라고 생각해요. 처음 남극을 방문하였을 때 느꼈던 드넓은 풍경과 차갑지만 상쾌했던 느낌이 생생히 기억나요. 사진을 통해 이 느낌이 친구들에게 그대로 전달되었으면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차를 흔드는 힘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떠 있는 거예요. 스티로폼 공은 외부의 공기에 의해 갇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키트의
위
치를 옮기면 공도 따라서 함께 움직여요. 이 원리를 응용하면 마치 공이 살아있는 것처럼 보여 더욱 실감나는 마술을 할 수도 있답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날개 없는 비행기 콘테스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빠르게 회전하면
위
쪽의 공기가 경사를 타고 아래로 내려가지요. 이로 인해 날개
위
아래에 기압차가 생기고 양력이 발생하는 거랍니다. 또한 프로펠러의 기울기를 조절하면 비행 방향과 속도를 바꿀 수 있어요 ... ...
[과학뉴스] 먹기만 해도 살 빠지는 칩 탄생!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위
가 움직일 때마다 작동해 전기를 생산한다. 이때 발전기가 0.1V 이상의 전압을 생성하면
위
에서부터 뇌의 아래 부분인 숨뇌로 이어지는 미주신경 신호를 차단한다. 미주신경 신호가 차단되면 체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이 평균 체중의 쥐를 대상으로 100일 동안 실험한 결과,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설명했다. 현재 해양수산부는 1990년대(1만t) 수준으로 명태 자원을 회복하기
위
해 ‘크기와 상관없이’ 연중 명태 포획을 금지하는 모라토리엄을 선언한 상태다 ... ...
[이달의 PICK] ‘계란의 일생’ 알아야 핵심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반숙란, 깐 계란 같은 가공란 소비 비중은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다. 신선한 계란을 먹기
위
해서는 유통 과정에서도 온도가 중요하다. 김재경 하림 신규영업부 계란사업팀 사업부장은 “등급란의 경우 계란을 농장에서 GP센터로 입고하고 포장된 계란을 마트로 출고하는 전 과정을 10도 이하로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마음먹었다. 그는 사설 모의고사 문제는 풀지 않고, 평가원 모의고사와 EBS 문제
위
주로 수능에 대비했다. 그는 ”문제를 분석한다는 생각으로 아주 자세하게 공부했다“고 말했다. 이를테면 문제를 푼 다음 지문 아래에 주석을 다는 식이었다. 그는 자신만의 공부 자료도 만들었다. 교과서에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