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00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 괴질' 다기관염증증후군, 가와사키병·코로나19와 전혀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5세 미만 어린이, 특히 동아시아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한다. 바이러스 등 병원체에 점막
표면
에 감염됐을 때 급격한 면역 반응을 일으켜 자신의 특정 조직을 공격하는 자가항체가 만들어지는 게 원인으로 추정된다. 면역세포인 호중구가 동맥을 관통해 동맥염을 일으키고 동맥의 팽창과 결합조직 ... ...
남원우·조길원 교수, 한국도레이과학기술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효소모방연구 발전에 기여한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 조길원 교수는 유기반도체
표면
유도 자기조립 분야 선도적인 연구자로 고분자 반도체 자기조립 나노선을 제조하는 등 연구성과가 인정받았다 ... ...
[프리미엄 리포트] 세계 최강 '울트라 블랙' 생명체
과학동아
l
2020.09.05
높은 종은 날개
표면
의 미세구조가 더 가파르고 깊게 패인 것으로 나타났다. 날개
표면
위에 수직으로 나란히 형성된 미세구조의 깊이가 빛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일반 검은색 나비보다 3~16배가량 더 깊었다. 이런 미세구조가 없다고 가정하면 빛 반사율은 7~28배 크게 상승한다는 계산이 나왔다 ... ...
[내 아이 챙기기]어린이 코로나19 중증 적은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9.05
감염돼 교차면역을 발휘할 수 있고 2) ACE2와 TMPRSS2 등 바이러스 감염에 관여하는 인체세포
표면
단백질의 발현이 적다. 3) 2형 도움T세포가 많아 선천면역 기능이 활성화되고 4) 호산구는 증가하고 5)사이토카인 분비는 줄어 중증 발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PNAS 논문 캡쳐 세 번째는 항체를 만드는 ... ...
한여름 펄펄 끓는 자동차 안 전기 안 쓰고 식혀줄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5
효과를 낸 것과 달리, 내부 공간 전체의 온도를 낮췄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의
표면
에는 바둑판 모양의 패턴이 새겨져 있다. 이 패턴 덕분에 PDMS는 대기에 흡수되지 않는 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다. 맨 오른쪽은 실험에 사용한 소재의 모습. 현재 송 교수팀은 어른 손바닥보다 넓은 8인치 ... ...
차세대 태양전지, 우주 테스트 성공
과학동아
l
2020.09.04
mW는 1000분의 1W) 전력을 생산해냈다. 또 태양빛을 직접 받지 못하는 위치에서도 지구
표면
에 반사된 빛만으로 전력을 생산했다.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는 빛을 직접 받아야만 발전이 가능했다. 차세대 태양전지 소자는 로켓이 발사될 때 발생하는 열과 우주 자외선 등에도 안정적으로 견뎌내며 총 7분 ... ...
[백신 업데이트]노바백스 '단백질 합성' 백신 후보, 임상 1상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백신이다. NVX-CoV2373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인 ‘스파이크 단백질’과 주변 당 분자를 제조해 보조 물질과 함께 투여한다. NVX-CoV2373은 비교적 기대를 모으는 후보물질로 감염병 백신의 조기 개발을 지원하는 국제기구 감염병대비혁신연합(CEPI ... ...
지구가 달을 녹슬게 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달에서 철이 녹슬어 만들어진 적철광이 분포된 곳을 지도로 나타냈다. 달에서 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극지방에 주로 분포하는 것을 볼 수 ... 리 교수는 “이 발견은 달의 극지에 대한 우리 지식을 바꿨다”며 “지구가 달
표면
이 바뀌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 ...
지속 기간 논란 코로나19 항체, 4개월까지는 유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여럿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판이뮤노글로불린(Pan-Ig) 검사 두 종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
돌기나 껍질 등 다양한 부위의 단백질 조각을 인식하는 항체를 표적으로 하는 검사 네 종류였다. 여기에는 코로나19 확진에 쓰이는 유전자증폭검사(qPCR)을 이용해 1237명으로부터 받은 검체 2102개와 ... ...
[인간·공감·AI] ⑥ "바이러스로 바이러스 잡아" 신개념 코로나19 바이러스 탐지 센서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대량 복제가 가능해 가격 경쟁력도 갖췄다”고 설명했다. 송 교수 연구팀은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의 유전자를 변형해 벤젠이나 아세톤같은 유독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이나 내분기계를 교란하는 물질인 플라스틱 환경호르몬에 반응하도록 했다. 송 교수는 “단백질을 바꿔 특정 물질이 잘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