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대원들의 생일, 그리고 각 나라의 휴일을 달력에 표시하고, 그 날에는 무미건조한 우주식 대신 좀더 특별한 식사를 하기로 한 것이다. 물론 특별한 식사라고 해서 지구에서의 식사를 생각할 수는 없다. 다만 좀더 고급 재료로 만든 캔 요리일 뿐이다. 그래도 전채요리, 메인 요리 그리고 디저트까지 ...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빛, 버튼, 슬라이드 등 외부의 자극을 감지할 수 있는 보조 장치다. 이 센서를 키보드 대신 입력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보드를 이용하면 빛에 따라 식물에 물을 줘야 할 때를 알려 주는 알람을 만들 수 있다.독자들은 이런 센서보드를 가지고 먼저 2~3명이 한 팀을 이뤘다. 그런 다음 각 ... ...
- [hot science] 포스트시즌의 세가지 미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운’에 가까웠던 것이다.한국에서는 아직 클러치 값을 직접 제공하는 곳이 없다. 대신 득점권 타율을 살펴보면, 정규시즌 1위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삼성 라이온즈 야마이코 나바로가 0.407의 타율을 기록하며 맹타를 휘둘렀다. 이번 한국시리즈에서 나바로가 과연 운을 뛰어넘어 진짜 클러치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치킨’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기름에 튀기면 근육만 남아 고무처럼 질겨지기 때문이다. 대신 오래 삶아서 먹는 백숙에는 제격이다. 1950년대 전까지 한국 사람들에게 닭은 ‘삶아서 먹는 것’이였다.재래닭은 살아가는 모습도 특색 있다. 몸이 가볍고 날개가 강하다보니 잘 날아다닌다. 나무 위도 ... ...
-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비켜!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뚫은 구멍이다. 바둑판 무늬의 철망 뚜껑으로 덮여 있다. 사람들은 훤히 보이는 길바닥 대신 캄캄한 구멍 속으로 쓰레기를 던져 넣어 찔리는 양심을 슬며시 감춘다. 하지만 이는 곧 재앙으로 돌아온다. 각종 쓰레기가 하수관에 ‘동맥경화’를 일으킨다. 심한 악취가 나고 심지어 장마철에는 하수가 ... ...
- [과학뉴스] ‘글루텐 프리’만으로는 부족하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글루텐을 피하기만 한 경우에는 영양소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루텐을 대신해 섭취한 설탕이나 쌀, 감자 같은 음식에 섬유질과 단백질은 부족하고 포화지방은 지나치게 많기 때문이다. 그 결과 혈당 수치는 높았고 단백질이나 비타민 섭취는 부족해졌다.반면 ‘아스코르빈산, 구연산 ... ...
- [과학뉴스] 물에 햇빛 쪼이니 수소가 펑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74배 많은 양의 수소를 생산했다.이 교수는 “새로운 촉매를 이용하면 물에서 수소 대신 전기에너지도 직접 얻을 수 있어 물만으로 작동되는 가전기기, 자동차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글로벌프런티어사업단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 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한다. 직접 가보지 못하면 심부름꾼이라도 보내야 한다. 태양계 끝이 궁금한 인류 역시, 대신 눈과 귀가 돼 줄 작은 탐사선 하나를 우주로 쏴 보냈다. 바로 나, 2006년 1월 발사한 미국의 ‘뉴호라이즌’ 호다. ‘뉴호라이즌’이라는 이름은 ‘새로운 지평선’이라는 뜻이다. 나는 장장 9년 반의 여정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그 가루가 자연스레 토기 속에 섞여 들어갔던 것이다.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 쌀밥 대신 쌀떡과 쌀죽을 먹다우리가 밥을 떠먹을 때 사용하는 숟가락을 살펴보면 쌀밥의 역사도 볼 수 있다. 6세기에 만들어진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청동 숟가락은 손잡이 부분이 볼록해 실제로 쓰기는 어려운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레이첼 캐스퍼리 박사는 아이를 낳자마자 먹고 살기 위해 환경과 싸우던 ‘부모’ 대신 남아 있는 조부모들이 아이를 키우고 여러 가지 생존 능력을 전해 주면서 사람들의 수명도 함께 늘었다고 보고 있단다. 적어도 양육에 대해서는 지금도 마찬가지야. 요즘은 맞벌이 가정이 많아서 나 같은 ... ...
이전1821831841851861871881891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