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선인장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있네? 가시가 없는 것도 있고?선인장은 통통한 몸과 날카로운 가시를 자랑해요. 그 대신 잎도, 가지도 달려 있지 않지요. 이유가 무엇일까요?선인장의 몸이 바로 가지이기 때문이에요. 건조한 기후에서 물을 오래 보존하기 위해 세포를 늘리다 보니 우리가 아는 모습으로 변했지요. 또 가시는 원래 ...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들어오면서 수질이 더욱 개선된 것이다.이 사실은 연구로도 증명되고 있다. 최근에는 COD 대신 ‘수질평가지수(WQI)’라는 기준이 해역의 수질 기준으로 많이 사용된다. WQI는 용존산소포화도(DO), 식물 플랑크톤 농도, 투명도, 용존무기인, 용존무기질소 등 기존에 쓰이던 여러 개의 수질 측정 자료를 ... ...
- K-Pop 스타도 깜짝 놀란 홀로그램 콘서트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등장한 것 같이 착각한다. 홀로그램, 어디까지 왔나?홀로그램 콘서트에 진짜 홀로그램 대신, 눈속임 기술을 사용하는 이유는 뭘까? 현재 홀로그램 기술의 수준과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 알아보자.활발히 활용되는 정지 홀로그램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처음 생각해 낸 사람은 헝가리 태생의 ... ...
- [생활] 계산을 쉽고 편리하게! 소수점과 순환소수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이자율이 1/11 인 경우 거의 비슷한 9/100 로 계산하고, 1/12 인 경우 거의 비슷한 8/100 로 대신 계산을 하면 훨씬 간단하게 이자를 계산할 수 있다.스테빈의 발견은 복잡한 분수 계산에 속 썩지 않고도 누구나 간단히 이자를 계산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래서 그는 1584년, 이자가 1/10 에서부터 5/10 ...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게 아니라는 사실이었다. 처음 넣어준 줄기세포는 곧 사그라들고, 대신 주변에서 돌아다니던 재생능력 좋은 간세포들이 몰려들어 복구에 참여했다. 줄기세포가 ‘오지랖 넓게’ 손상된 부위에 필요한 세포들을 여기저기서 끌어모은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우리 몸은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있는 먼지에 대한 연구도 많이 나왔다. 달은 지구에서와 같은 풍화를 겪지 않지만, 대신 우주선이나 미세한 유성체와 만나 표토의 미세한 가루(먼지)가 생긴다. 이 먼지가 이동을 해와서 스월이 생겼다는 개릭-베델 교수팀의 가설도 있다.김성수 경희대 교수와 심채경 연구원은 달의 편광을 관측해 ... ...
- 십자매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과정은 낯익지 않은가. 사람이 정착해서 사회를 구축하는 과정과 대단히 비슷하다. 새장 대신 사회가 됐을 뿐, 포식자의 위험과 채집의 노고, 잡종 교배의 위험에서 해방됐다는 점은 같다. 혹시 사람 역시 사회를 이루면서 더 복잡한 언어를 말하는 사람에 대한 성선택이 일어났고, 그 변화가 점점 더 ... ...
- 두유노우 마우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분석할 수 있고, 사람 세포를 인공적으로 배양해서 인공 피부나 인공 각막을 만들어 동물 대신 실험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어떤 방법도 동물 실험만큼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어요. 동물 실험은 앞으로도 계속된다는 뜻이지요. 과학이 더 발전해 동물 실험이 아예 없어질 날이 올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더구나 한번 분화된 세포는 암으로 변하지도 않는다. 그렇다면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대신 직접 환자맞춤형 분화세포를 만드는 방법은 없을까? 암 가능성 원천봉쇄한 ‘직접교차분화’최근 떠오르고 있는 세 번째 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 바로 ‘직접교차분화’가 그 답이다. 예를 들어 ... ...
- [과학뉴스] 바닷속 심해어, “이산화탄소가 맛있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추측과는 달리 심해어가 표층의 물질을 받아 먹지 않는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대신 심해어는 중간 수심의 바다에 사는 해양동물을 잡아 먹었다.하지만 연구팀은 심해어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기능은 마찬가지라고 봤다. 중간 수심에 사는 동물은 얕은 바다로 올라가서 영양분을 얻기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